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교육공간

서원구역
서원구역_개요

조선 선비정신의 요람

조선은 선비의 나라다. 유교 성리학을 국시로 정한 조선은 선비를 기르는 학교를 세우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성균관과 향교 등 국공립학교는 관리 양성에만 매달렸을 뿐이었고, 불의를 참지 못하는 살신성인의 용기를 보여준 조선의 큰 기둥 선비들은 대부분 사립학교 서원에서 길러졌다.

교육과 제사기능을 아우르는 사립대학

조선시대의 서원은 1542년 주세붕이 현재 영주시 순흥면에 세운 백운동서원에서 출발하였다. 이곳에는 이땅에 성리학을 처음 수입한 안향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있어, 성리학의 전래와 보급에 서원이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기 서원은 교육에 치중했지만, 차츰 민심을 안정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서원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현판을 하사해 준 서원, 즉 '사액서원'의 형태로 나타났다. 한 예로 이황은 백운동서원에 대해 조정에서 공식적으로 후원해 줄 것을 요청하여 '소수서원'이라는 현판을 하사받았다. 이로써 설립은 민간에서 하되 후원은 국가에서 담당하는 새로운 교육제도가 만들어졌다.

유학자의 연고지 가까운 경치 좋은 곳

서원은 순수 학문연구에 치중하는 사립 교육기관이므로 관아가 있는 읍내나 번잡한 큰 고을과는 멀리 떨어져 있다. 이는 지방 수령의 간섭을 피하고 관학인 향교와 일정한 거리를 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유학 발전에 기여한 유학자의 출생지나 거주지, 심지어는 유배지나 묘자리 등 어떤 연고가 있는 곳에 입지해야만 서원의 정통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갖가지 연고가 있는 동성마을이나 향촌 가까운 곳 중에 경치가 뛰어나고 아늑한 땅을 골라 서원을 세웠다. 대개 서원은 강이나 내를 앞으로 하고, 나머지 삼면을 산으로 둘러싸인 자연과 합일하는 장소에 자리 잡았다.

교육기능과 제사기능이 결합된 서원건축

서원은 학생을 교육하는 교육시설과 우리나라 유학자를 기리는 제사시설이 결합된 건축형태를 보여준다.
서원은 향교의 배치와는 달리 강당이 앞에 있고 사당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형이 대부분이며, 그 반대인 전묘후학형은 보이지 않는다. 평지형 서원에서 두 기능이 옆으로 펼쳐지는 횡렬식이 나타나기도 한다.
서원의 구성을 크게 사당을 중심으로 한 제사공간과 강당을 중심으로 동재와 서재가 있는 교육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공간 외에 제기를 보관하는 제기고, 휴식 기능의 누각, 출판을 담당하는 장판각, 출입문인 내삼문과 외삼문 등이 있는데, 이것을 적정한 위치에서 교육과 제사라는 서원의 두 가지 목적을 지원하고 있다.

조선 선비정신의 바탕골, 도산서원

도산서원은 낙동강 상류의 굽이치는 언덕 한편을 차지하고 주변의 낮은 산을 병풍처럼 두르고 있어 자연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곳이다. 이 서원에는 조선의 큰 선비 퇴계 이황과 수제자 월천 조목이 배향돼있다.
건립시기는 이황이 죽은 지 4년 뒤인 선조 7년(1574)으로 지방 유림들의 발의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들은 이황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575년 선조로부터 명필 한석봉이 쓴 '도산서원'의 편액을 내려 받으며 사액서원으로 발전하였다.
도산서원은 강당인 전교당이 앞에 있고 사당인 상덕사가 뒤에 있는 '전당후묘'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