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교육공간

서원구역
서원
도산서원 상덕사 전경
도산서원 상덕사 전경_1 돋보기
서원

교육과 제사 기능을 아우르는 사립대학



조선시대의 서원은 1542년 주세붕이 현재 영주시 순흥면에 세운 백운동서원에서 출발하였다. 이 곳에는 이 땅에 성리학을 처음 수입한 안향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있어, 성리학의 전래와 보급에 서원이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기 서원은 교육에 치중했지만, 차츰 민심을 안정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서원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현판을 하사해준 서원, 즉 ‘사액서원’의 형태로 나타났다. 한 예로 이황은 백운동서원에 대해 공식적으로 국가가 후원해 줄 것을 요청하여 소수서원이라는 현판을 하사받았다. 이로써 설립은 민간에서 하되, 후원은 국가에서 담당하는 새로운 교육제도가 만들어졌다.



유학자의 연고지 가까운 경치 좋은 곳



서원은 순수 학문연구에 치중하는 사립 교육기관이므로 관아가 있는 읍내나 번잡한 큰 고을에서는 멀리 떨어져 있다. 지방 수령의 간섭을 피하고 관학인 향교와 일정한 거리를 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유학 발전에 기여한 유학자의 출생지나 거주지, 심지어는 유배지나 묘자리 등 갖가지 연고가 있는 지역에 입지해야만 서원의 정통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갖가지 연고가 있는 동성마을이나 향촌 가까운 곳에 경치가 뛰어나고 아늑한 땅을 골라 서원을 세웠다. 대개 서원은 강이나 내를 앞으로 하고, 나머지 삼면을 산으로 둘러싸인 자연과 합일하는 장소에 자리 잡았다.



교육기능과 제사기능이 결합된 서원건축



서원은 학생을 교육하는 교육시설과 우리나라 유학자를 기리는 제사시설이 결합된 건축형태를 보여준다. 서원은 향교의 배치와는 달리 강당이 앞에 있고 사당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형이 대부분이며, 그 반대인 전묘후학형은 보이지 않는다. 평지형 서원에서는 두 기능이 옆으로 펼쳐지는 횡렬식이 나타나기도 한다. 서원의 구성은 크게 사당을 중심으로 한 제사공간과 강당을 중심으로 동재와 서재가 있는 교육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공간 외에 제기를 보관하는 제기고, 휴식 기능의 누각, 출판을 담당하는 장판각, 출입문인 내삼문과 외삼문 등이 있는데 이들은 적정한 위치에서 이들 두 기능을 지원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