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행정공간

읍성구역
읍성구역_개요

성곽의 나라에 세워진 성곽과 읍성

"우리나라는 성곽의 나라이다"라고 말해질 정도로, 조선 세종때의 양성지는 전국에 수많은 성을 쌓았다.
원래 '성곽'이라는 말에서 '성'은 안쪽에 세우는 내성을 말하고 '곽'은 내성을 보호하는 외성을 말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양자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는 편이다.
성곽은 건설 위치에 따라 크게 산성과 평지성으로 나눌 수 있다. 산성은 험한 지형을 이용해서 방어에 유리하고, 평지성은 행정의 중심지로서 대부분 읍성의 형태를 띠고 있다. 이 둘의 장점을 수용하여 배후지에 산을 두르는 평산성도 보인다.
재료별로 볼 때는, 돌로 만드는 석축성, 흙으로 만드는 토축성, 둘을 함께 사용한 토석축성, 벽돌로 만드는 전축성으로 나눌 수 있다.

성곽건축의 절정을 보여주는 성문과 성벽

화약과 화포의 등장은 성곽 건축에서도 매우 큰 변화를 가져왔다. 높고 긴 성벽은 공격과 방어에 효율성이 떨어졌기 때문에, 성벽을 낮추고 곳곳에 화포를 설치할 수 있는 시설이나 화포공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튀어나오거나 굴곡된 성벽을 많이 지었다. 그 가운데 성곽에서 가장 중요한 시설인 성문을 보호하는 홍성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성문은 성 안팎을 연결하는 관문인 동시에 지휘소였기 때문에, 적군의 주요 공격목표가 되었다. 그래서 문루 자체도 견고하고 위압적으로 만들었을 뿐 아니라 적대와 여장 등 갖가지 방어시설을 갖추기도 했다. 또 아치형의 무지개 구조를 채택하고 문짝에 철판을 붙여서 공격에 대비하였다.
성문과 성문 사이를 연결하는 성벽에는 갖가지 방어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대표적인 것이 치성, 포루, 여장이다. 성벽 가운데 밖으로 원형이나 방형으로 튀어나온 치성과 그 위에 누각을 지어서 세운 포루가 있다. 치성과 포루는 성벽을 보호하고, 적의 동태를 경계하면서 적의 공격을 물리치는 시설이다.
성벽도 초기의 단순한 방벽의 모습에서 다양한 형태의 여장으로 발전하였다. 여장은 일반적으로 총이나 활을 쏘는 총구멍이라고 할 수 있는 총안과 담 중간 중간에 잘려져 있는 타구가 설치되어 있다. 총안과 타구의 밑면은 바깥으로 경사져 있어 근접한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모두가 성벽 방어시설이다.

화강암에 생명을 불어넣은 석조 건조술의 걸작

우리의 전통 돌 구조 건축은 그 유래가 매우 오래되고 다양하다.
고구려 고분 축조, 백제의 석탑, 신라의 석굴암 등 희대의 걸작들이 많이 전한다. 조선시대에도 무지개 모양의 아치형 구조를 활용한 석빙고, 다리 등이 많이 건설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희고 단단하며 오래될수록 결의 아름다움이 뛰어난 화강암이 많이 생산되어 이러한 석조건축물을 탄생시킬 수 있는 좋은 토양이 되고 있다. 이러한 화강암을 가지고 만들어진 석빙고, 돌다리, 봉수대 등 다양한 석조건축물을 둘러보자.

한여름에도 얼음을 저장했던 첨단 얼음 창고, 석빙고

석빙고란 한겨울에 꽁꽁 언 얼음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서 녹지 않도록 보고나하는 돌로 만든 인공 얼음 창고이다.
빙고는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때부터 국가가 만들고 관리하던 공식시설이었으며, 조선 말기 고종 35년(1898) 전력사업이 시작되어 양빙(동빙고와 서빙고)제도가 없어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용되었다.
지금은 제대로 된 모습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었지만 옛 시대에 다른 나라에서는 유례를 찾기 힘든 첨단 과학건축이었다.
겉에서 보면 긴 타원형의 고분처럼 보이는 석빙고에서 차가운 온도를 유지하는 비결은 무엇일까? 먼저 눈에 띄는 것이 바로 여러 줄의 아치, 즉 무지개형 구조이다. 여러 줄의 무지개가 사이를 띄우고 늘어서 있고, 그 바깥쪽에 장대석을 덧걸거나 건너지르는 방식으로 건설하였다. 그러므로 무지개 사이에 음푹 들어간 골이 공기주머니 역할을 해서 바로 연결된 환기구로 따뜻한 공기를 곧바로 빼내는 것이다. 게다가 얼음 보관에 치명적인 녹은 물이 잘 빠지도록 만든 배수구도 섬세하게 고려되어 있다. 무지개 구조는 기둥을 없애서 넓은 공간을 얻을 수 있고 연속된 무지개가 원형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현재 남북한에 남아 있는 석빙고는 모두 7개로 다음과 같다. 경주석빙고(보물 66호), 안동석빙고(보물 305호), 창녕석빙고(보물 310호), 청도석빙고(보물 323호), 현풍석빙고(보물 673호), 영산석빙고(사적 169호), 해주석빙고(북한 보물 20호).
가장 규모가 큰 해주 석빙고를 제외하고 영남지방에 많은 곳이 남아 있는데 경북에 네 개, 경남에 두 개이다. 건축이나 개축 시기는 대체로 18세기 영조 때가 많다. 반지하에 내부 길이는 약 12미터이고, 폭은 약 5미터, 높이는 약 5미터이다. 아쉽게도 서울에 있던 동빙고와 서빙고의 양빙고는 나무로 만든 목빙고였던 탓에 모두 사라지고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