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목조건축물

상류주택
안채
안채

종가 안채

일반정보

안주인이 생활하는 공간



남존여비사상과 내외법이 엄격하게 적용되었던 조선시대에는 부인의 거처는 남편의 거처인 사랑방과 별개로 건립되던 것이 일반적이다. 안방은 안주인이 살아가며 삶을 이어가는 곳이다. 또 직계가족들이 모이는 거실과도 같은 역할을 하며, 안주인의 손님을 맞이하는 곳이기도 하다. 안방과 대청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는 건넌방은 일반적으로 새 며느리가 사는 곳이다. 안채의 구성은 크게 취침할 수 있는 온돌방과 마루, 그리고 부엌의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공간은 주로 여성이 집안에서 하는 일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성이 생활하고 작업하는 공간인 셈이다.



안방과 마루와 부엌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 공간



안채의 구성은 큰 방의 중간에 사이장지를 들여 아래 위의 두 방으로 나누어 안주인이 취침하고, 위에서 안잠자기가 잠을 자게 된다. 또 안방 옆으로 작은 골방을 두어 여기에 안잠자기를 재우기도 한다. 안채는 일반적으로 부엌과 장독대 등 취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때문에 안채의 안방은 부엌과 인접해 있는 부엌의 아궁이에 불을 땜으로써 안방의 난방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여름에는 안방의 구들에 불길이 들지 않도록 부엌 밖 마당에 솥을 건 한뎃부엌을 만들어 취사작업을 한다. 안방의 옆으로는 대청을 두어 마당에서 대청 앞 기단 위에 올라서고, 다시 대청에 올라선 후 안방으로 드나들게 된다.

전문정보

여주인의 살림 공간, 안채



남존여비사상과 내외법이 엄격하게 적용되었던 조선시대에는 부인의 거처는 남편의 거처인 사랑방과 별개로 건립되던 것이 일반적이다. 즉 안방은 안주인의 일상 거처실이며, 안주인의 취침공간이다. 또 직계가족들이 모이는 거실과도 같은 역할을 하며, 안주인의 손님을 맞이하는 곳이기도 하여 사회생활공간이기도 했다. 안방과 대청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는 건넌방은 일반적으로 새 며느리의 취침공간인 동시에 일상 거처공간이 된다.

안채의 기능은 여주인들의 생활공간인 동시에 집안의 살림을 하는 공간이다. 안채의 구성은 크게 취침할 수 있는 온돌방과 마루, 그리고 부엌의 공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공간은 주로 여성이 집안에서 하는 일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이다. 안채는 여성이 생활하고 작업하는 공간인 셈이다.

안채의 구성은 큰 방의 중간에 사이장지를 들여 아래 위의 두 방으로 나누어 안주인이 취침하고, 위에서 안잠자기가 잠을 자게 된다. 또 안방 옆으로 작은 골방을 두어 여기에 안잠자기를 재우기도 한다.

안채는 일반적으로 부엌과 장독대 등 취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때문에 안채의 안방은 부엌과 인접해 있는 부엌의 아궁이에 불을 땜으로써 안방의 난방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여름에는 안방의 구들에 불길이 들지 않도록 부엌 밖 마당에 솥을 건 한뎃부엌을 만들어 취사작업을 한다. 안방의 옆으로는 대청을 두어 마당에서 대청 앞 기단 위에 올라서고, 다시 대청에 올라선 후 안방으로 드나들게 된다. 또 안방의 위쪽으로는 윗방이 자리 잡는 경우와 우물마루로 바닥이 마감된 고방마루가 설치되는 경우, 그리고 아무런 공간 없이 벽으로 외부와 단절되는 세 가지 경우로 나뉜다.

안채의 건넌방은 며느리의 일상거처로, 경상도에서는 이 건넌방을 상방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새며느리가 들어오면 상방에서 머물다가 안방물림을 행하게 되고, 이 방을 쓰던 며느리는 안방을 차지하고 노모는 이 상방으로 옮겨 온다.

비교대상

양동수졸당 안채



양동수졸당은 중요민속자료 78호에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212번지에 위치한다. 수졸당은 이언적의 넷째손자 이의잠이 세운 것으로 그의 호를 따서 수졸당이라 하였다. ㄱ자형 안채와 一자형의 사랑채, 행랑채, 곳간채가 합쳐 口자형을 이루고 있다. 양동수졸당의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맞배지붕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막힌 口자 형태로 지붕은 모두 뜰집구조로 되어 있다. 정면 왼쪽 1칸은 온돌, 2칸은 대청, 다시 오른쪽 2칸은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면에는 모두 툇마루를 설치하고 있다. 기둥은 사랑채와 달리 네모기둥을 사용하였다.



예안이씨충효당 안채



예안이씨충효당은 보물 55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안동시 풍산읍 하리 1리 189번지에 위치한다. 이 집은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한 이홍인의 집이다. 안채와 사랑채와 붙어있는 口자형 집이다. 口자형 집에 별사랑을 따로 두고 있다. 예안이씨충효당의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왼쪽에서부터 2칸은 온돌방을, 중앙 2칸은 대청을, 오른쪽 1칸은 온돌방을 두었다. 막돌쌓기 기단 위에 막초석을 두고, 대청의 외주에는 두리기둥을 설치하였다. 안채 왼쪽에는 곳간채를 설치하고, 오른쪽에는 고방과 행랑을 설치하고 있다.



가일수곡종택 안채



가일수곡종택은 중요민속자료 17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 419번지에 위치한다. 권보의 덕을 기리기 위해 지은 종가집이다. 집의 구성은 一자형의 사랑채와 문간채, 一자형 대문채, ㄷ자형 안채가 튼 口자로 배치되어 있다. 안채의 뒤쪽에는 사당이 자리잡고 있다.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운데 2칸은 전면이 개방된 대청이며, 왼쪽 2칸은 안방이다. 대청 전면에만 원주를 사용하였고 지붕은 5량가로 제형판대공을 높게 세워 종도리를 얹었다. 안채 좌측면에는 2.5칸의 부엌과 1칸의 고방을 마당 쪽으로 배치하였으며, 대청의 우측면에도 고방윗방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