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석조건축물

통신시설
원형 봉수대
원형봉수대(충주 주정산봉수대) 가상복원_0 돋보기
원형 봉수대

원형 봉수대

일반정보

5개 연기구멍으로 소식을 전하는 통신시설



봉수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급한 소식을 전하던 옛날의 통신수단을 말하며,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보냈다. 방위수단의 하나인 봉수제도는 조선 말기까지 계속되어 왔으나 이 제도가 시작된 것은 퍽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봉수제도는 변경에서 급보하는 5개 주용 봉수가 있어 그 기점을 보면 동북의 경흥, 서북의 강계, 의주, 서남의 순천, 동남의 동래인데 모두 서울 남산인 목멱산에 연결되어 병조로 보고되었다. 위에서 말한 주봉 이외에도 간봉망이 있어 주봉에 연계되었다.



연기와 불로 외적의 침입을 알리는 봉수제도



봉수의 방법은 사태의 완급을 5거제로 구분하여 급보하는데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알렸다. 평시에는 1홰, 적이 모습을 나타내면 2홰, 적이 경계에 접근하면 3홰, 적이 경계를 침범하면 4홰, 싸움이 벌어지면 5홰를 반복하여 변경에서 중앙까지 알리고 비바람 등으로 봉수가 불가능 할 때는 봉수군에 의하여 도보로 연결되었다. 연기를 뿜는 연조의 모습이 방형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원형이 많았다. 그리고 주봉망이 아닌 간봉망의 봉수는 5개가 아니라 1개인 경우가 많았다.

전문정보

연기와 횃불로 소식을 전하는 봉수대(烽燧臺)



봉수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급한 소식을 전하던 옛날의 통신수단을 말하며,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보냈다.

방위수단의 하나인 봉수제도는 조선 말기까지 계속되어 왔으나 이 제도가 시작된 것은 퍽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에 와서는 의종 3년(1149)에 서북병마사 조진약(曺晋若)의 건의로 채택된 바 있어 조선에 이르러서도 그대로 답습하여 왔다.

봉수의 방법은 사태의 완급을 5거제로 구분하여 급보하는데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알렸다. 평시에는 1홰(炬), 적이 모습을 나타내면 2홰, 적이 경계에 접근하면 3홰, 적이 경계를 침범하면 4홰, 싸움이 벌어지면 5홰를 반복하여 변경에서 중앙까지 알리고 비바람 등으로 봉수가 불가능할 때는 봉수군에 의하여 도보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봉수제도는 변경에서 급보하는 5개 주용 봉수가 있어 그 기점을 보면 동북의 경흥(慶興), 서북의 강계(江界), 의주(義州), 서남의 순천(順天), 동남의 동래(東來)인데 모두 서울 남산인 목멱산(木覓山)에 연결되어 병조로 보고 되었다. 이 주봉(主峰) 가운데 동남의 동래 다대포진(多大浦鎭)을 초기(初起)로 하는 것은 구봉(龜蜂, 多大浦), 황령산(黃嶺山, 釜山鎭), 계명산(鷄鳴山, 東萊), 위산(渭山), 부로산(夫老山, 三南), 소산(所山, 斗西), 고위산(高位山, 慶州郡)을 거쳐 안동(安東), 충주(忠州)를 지나 남산에 연계 되었다. 울산지방은 삼남면의 작천정(酌川亭) 북쪽 봉화산이 바로 부로(夫老) 봉수대가 있던 산이며 또 두서면의 구량리와 서하리 사이에 있는 봉화산이 소산(所山) 봉수대이다.

위에서 말한 주봉 이외에도 간봉망(間烽網)이 있어 주봉에 연계되었다.

비교대상

주정산봉수대



주정산봉수대는 시도기념물 11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충북 충주시 상모면 온천리 산 47-2번지에 위치한다. 충주시 상모면 온천리와 괴산군 장연면 추정리의 경계부분인 주정산 봉우리에 있는 이 봉수대는 고려시대에 축조되어 조선시대까지 이용된 것으로, 남쪽의 미륵리 마골재에서 봉수를 받아 북쪽의 대림산 봉수대에 전하였다. 긴 타원형의 방호벽이 산 정상을 자연석쌓기로 축조해 놓았으며, 석등을 갖춘 남북 2곳의 출입구가 있다. 화구와 화덕을 갖춘 봉조 5개소가 있는데, 그 크기와 모양이 서로 차이가 난다. 5개소의 위치는 멀리서 연기와 불꽃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타원을 그리며 배치되어 있다.



울산나사봉수대



나사봉수대는 시도기념물 15호 지정되어 있으며, 울산 울주군 서생면 나사리 산 36번지에 위치한다. 울산이길봉수대라 불리기도 한다. 이 봉수는 기장군에 있는 아리포 봉수를 받아 강양 하산봉수대로 전달한다. 해발 100미터 정도의 정상부에 상태가 양호한 봉수가 있다. 원통형의 봉돈과 방호벽, 그리고 봉수군이 거주한 곳으로 추정되는 공간이 확인된다. 중앙의 봉돈은 높이 2.4미터 , 지름 9미터의 돌로 쌓은 것으로 그 바깥으로 높이 1.5미터, 너비 1.5미터, 지름 30미터쯤의 돌로 쌓은 담장과 지름 40미터쯤의 담장이 바깥과 구분하여 나타나고 있으며, 폭은 일정하지 않아 1.5-2.5미터 높이도 지형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났다.



남산봉수대지



남산봉수대지는 시도기념물 1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 중구 예장동 8-1번지에 위치한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는 1394년 도읍을 한양으로 옮긴 후 남산에 봉수대를 설치한 이후 갑오개혁 다음 해인 1894년까지 거의 500여 년 동안이나 사용되었다. 전국의 봉수가 최종적으로 모두 남산봉수대에 전달되도록 하였는데, 중앙 봉수대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봉수대의 명칭은 남산의 옛 이름을 따서 목멱산봉수라고 하기도 하고 서울에 있다고 하여 경봉수라고도 하였다. 남산봉수대는 동쪽에서부터 서쪽으로 5개소가 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고 현재의 봉수는 복원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