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생활공간

반가구역
정자 별당형
정자 별당형

정자 별당형

일반정보

거주와 교육 기능을 강조하는 별당형 정자



경치 좋은 곳에 누각이나 정자를 짓고, 그 곳에서 친구들과 시를 짓고, 노래를 읊는 것은 조선시대의 공통된 모습이다. 16세기에 들어와 지방에서 사림세력이 지어 놓은 정자들은 특별한 의미와 중요성을 지닌다. 선비들의 높은 이상과 투철한 학문 정신을 실현하는 곳이다. 정자 건물은 선비 정신을 바탕으로 고도의 집약과 절제로 완성한 뛰어난 건물이다. 이러한 건물은 때로는 정자이기도 하고 때로는 정사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별당형 정자는 전체 상류주택의 영역 속에 포함되어 단순히 휴식하는 곳이 아니라 거주하는 기능을 강조하고 자손을 교육시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집 안에 세워진 방형 정자



별당형 정자의 평면형태를 분류하면 네모난 방형을 가진 것이 대부분이다. 그밖에 6각형이나 8각형의 평면이 있고 드물게 7각형의 평면도 있다. 방형 정자를 세분해 보면 정면 1칸, 측면 1칸에서 크게 정면 7칸, 측면 3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를 보인다. 이 중 가장 많은 예가 정면 1칸, 측면 1칸이다. 지방에 많이 분포하는 별당형 정자의 경우는 방형에 정면 3칸, 측면 2칸이 많다. 또한 집안의 영역 안에 세우고 어느 정도 독립성을 가질 수 있도록 온돌방과 부엌을 갖추는 경우도 있다. 안채와 사랑채 등 일상 생활공간에 작은 협문을 달고 중담으로 구분할 뿐 이어져서 건설하는 경우가 많다.

전문정보

집안에 세워진 별당형 정자(亭子)



경치 좋은 곳에 누각(樓閣)이나 정자를 짓고 그 곳에서 친구들과 시를 짓고, 노래를 읊는 것은 조선시대의 공통된 모습이다. 이러한 전통은 고려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조선시대 16세기에 들어와 지방에서 사림세력이 지어 놓은 정자들은 특별한 의미와 중요성을 지닌다. 사림들에 의해 지어진 정자는 단순히 시를 읊거나 술을 마시며 즐기는 장소가 아니라 선비들의 높은 이상과 투철한 학문 정신을 실현하는 곳이다. 그리고 자연을 바라보고 자연과 인간의 문제를 깊이 있게 생각하며 시와 노래를 짓던 장소였다. 나아가 그 건물은 선비 정신을 바탕으로 고도의 집약과 절제로 완성한 뛰어난 건축물이다. 건물은 때로는 정자이기도 하고 때로는 정사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단지 하나의 별당으로 지어지기도 하였다.

정자는 건립 목적에 따라 경치를 구경하거나, 휴식을 취하거나, 사람들과 교류하는 등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조선시대 상류주택 형태의 대종가에서는 부모나 선인들을 추모하는 목적으로 정자를 세우기도 하며, 후손을 교육하기 좋은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 별당처럼 거주하는 기능을 강조하는 정자를 세우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자의 평면형태를 분류하면 네모난 방형(方形)을 가진 것이 대부분이며, 6각형이나 8각형의 평면이 있고 드물게 7각형의 평면도 있다. 방형 정자를 세분해 보면 정면 1칸, 측면 1칸에서 크게 정면 7칸, 측면 3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를 보인다. 이 중 가장 많은 예가 정면 1칸, 측면 1칸이며, 정면 2칸, 측면 2칸, 정면 3칸, 측면 2칸의 예도 상당수 있는데, 다른 평면 규모는 비교적 작은 편이다. 지방에 많이 분포하는 별당형 정자의 경우는 방형에 정면 3칸, 측면 2칸이 많다. 그리고 조그만 부엌을 덧붙여 다는 경우도 있다.

형태로는 팔작지붕이 가장 많고 모임지붕의 예도 상당수 있다. 드물게는 정자(丁字)형 맞배지붕도 있다. 이밖에 난간양식이나 가구양식 등에 따라서도 구분된다.

또한 정자의 배치 형태를 크게 나눠볼 수 있는데 별당형 정자의 경우 집안의 구역 안에 세운다. 이 경우는 일반적인 주택보다는 별서(別墅)의 성격을 띤 주택에 나타나는 경우이다. 전원을 중심으로 한 생활공간에 달아 댄 경우가 많다. 주변 전원의 풍요로움을 바라본다는 의미도 있겠으나, 이를 통해서 자신을 수양하며 거주하고 집회하는 장소로서의 성격이 강조된다.

비교대상

태고정



태고정은 보물 55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638번지에 위치한다. 이 건물은 성종 때 박팽년(朴彭年)의 손자가 세운 별당 건축이다. 지금 건물은 임진왜란 때에 불타서 없어진 것을 광해군 때 다시 지은 것이다. 다른 이름으로 <일시루>라고도 한다. 방형의 네모난 모양의 기단 위에 정면 4칸, 측면 2칸의 규모에 팔작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른쪽 2칸은 대청마루이고, 왼쪽 2칸은 방으로 꾸며져 있다. 대청마루는 개방되어 있으며, 대청 앞 기둥 사이에는 2층으로 된 난간을 설치하였다. 서쪽에는 온돌방과 부엌을 마련하여 다른 데서 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소호헌



안동소호헌은 보물 47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562번지에 위치한다. 조선 명종 때 지은 별당이다. 정면 4칸, 측면 2칸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속된 방은 맞배지붕이다. 왼쪽 3칸은 대청, 오른쪽 1칸은 누마루이며, 앞쪽으로 온돌방 2칸을 붙여 집의 구조가 T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에 간략한 새부리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누마루와 온돌방 뒤쪽으로 난간을 둘렀고 건물 안쪽은 민가 건축에서 볼 수 없는 재료를 사용하여 지붕 맨 윗부분에 있는 재료를 받치고 있다. 용 2마리가 나는 문양의 기와는 민가에서 보기 드문 것이다.



한주정사



한주정사는 시도민속자료 45-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성주군 월향면 대산리 408번지에 위치한다. 한주종택의 오른쪽 길을 돌아가면 계곡 한편에 있는 한주정사를 만날 수 있다. 한주정사는 정면 4칸, 측면 3칸 반 규모의 T자형 정자이며, 높은 축대 위에 지었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가운데 2칸은 대청이고 양쪽은 방으로 되어 있다. 오른쪽 방은 뒤로 1칸 내어 통칸으로 하고, 앞으로 1칸 돌출시켜 누마루를 꾸몄다. 앞면에는 원기둥을 사용하였고, 누마루 밑의 기둥은 유난히 높아서 마루 위에서 보면 대문 안의 안마당이 내려다보인다. 누마루 동쪽에는 네모반듯한 연못을 파고 정원을 꾸며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