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교육공간

서원구역
서원
이완장군묘 묘비
이완장군묘 묘비_1 돋보기
분묘 석조장식

묘소 주인의 행적을 기리는 묘비



묘비는 봉분의 앞이나 상석 오른쪽에 세우는 묘표로 묘소 주인의 행적을 기록한다. 처음에는 단순히 무덤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다가 점차 죽은 이를 추모하고 살았을 때의 공적을 찬양하는 성격으로 바뀌었다. 일반적으로 묘비는 윗부분에 모를 접어 각을 세운 규수비가 주로 세워지다가 비석 위에 따로 관을 씌운 가관비가 유행하였다. 비신 위쪽을 호패처럼 둥글게 만든 규비나 팔작지붕과 같은 관석을 씌운 옥개비 등도 많이 세워졌다. 한편 묘비석과 함께 묘소 주인공의 이름과 행적을 새겨서 오랜 세월 뒤에 그 내용이 전해지도록 땅에 파묻는 비석을 지석이라고 한다.



죽은 이의 공간을 장식하는 석물들



왕릉이나 사대부의 묘소에는 망주석, 상석, 향로석, 혼유석, 장명등 같은 갖가지 석조 장식물들이 놓여 있다. 망주석은 무덤 앞 좌우에 세워, 멀리서도 무덤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는 돌기둥을 말한다. 기둥부에 호랑이나 다람쥐의 모습을 새긴 세호가 아름다움을 더한다. 향로석은 상석 앞에 향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둔 석물로 향안석이라고도 한다. 상석이란 무덤 앞에 설치하는 판석으로 제물을 차려놓을 수 있게 만든 넓적한 돌을 말한다. 제상돌이나 석안이나 석상이라고도 한다. 장명등은 무덤 앞에 세워 불을 밝힐 수 있도록 만든 석조물이다. 죽은 이가 길이 잠든 곳도 살았을 때와 같도록 꾸민 것이다.



죽은 이의 묘소를 지키고 보호하는 석인들



무덤을 지키기 위해 사람의 모습으로 만든 석조물을 묘 앞에 마주 세워둔다. 문관과 무관을 합쳐서 석인이라 부르는데 1쌍씩 마주 보고 세운다. 문인석은 문관의 관복을 입고 관모를 쓰고 있다. 무인석은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은 다음 칼을 차거나 앞에 쥐고 있다. 장중하고 정숙한 느낌으로 조각되어진다. 유교가 전래되면서 석인들은 단순히 무덤의 수호자로서 보다는 죽은 이에 대한 공경심을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의미로 변화한다. 그밖에 머리에 쌍상투를 튼 두 명의 동자를 망주석 안쪽에 마주보게 세우는데 동자석이라 부른다. 죽은 이를 호위하고 모시는 여러 석인들이 세워지면서 장엄한 분위기를 더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