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공간별 전통건축>생활공간>재실구역>분묘 장식물 문인석
URL

생활공간

재실구역
분묘 장식물 문인석
이완장군묘 문인석 가상복원_0 돋보기
분묘 장식물 문인석

분묘 장식물 문인석

일반정보

영혼의 집을 지키는 문관



무덤을 지키기 위해 사람 형상으로 석조물을 만들어 묘 앞에 세워둔 석물이다. 문관과 무관을 합쳐서 석인이라 부르는 수호시신으로 1쌍씩 마주 보고 세운다. 명칭은 문인석이나 문관석이라 부른다. 문인석은 대체로 중계 안에 세운다. 문인석은 문관을 상징하며, 머리에는 금관이나 와룡관 등을 쓰고 공복을 입고 있으며, 허리에는 띠를 두르고, 손에는 홀을 지니고 있다. 보통 키가 8.3자, 너비 3.0자, 두께 2.3자이다. 그 밑에 받치는 대석은 높이가 3.4자이고, 위 0.6자는 지상에 나오고 2.8자는 땅속에 묻힌다.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문관의 모습



중국 전한시대에 시작된 전통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초기부터 왕릉에 나타난다. 고려시대에는 문인석만 배치되다가 14세기에 이르러 무인석을 함께 세우게 되었다. 그러다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조각 양식이 간소화되었다. 문인이 장엄한 호위신령이라는 의미보다는 산자와 이어진 공간을 꾸미는 장식물의 역할만 하게 되었다.

이처럼 문인석과 무인석은 시대에 따라 양식이 다르므로 조각사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전문정보

문관의 모습으로 묘소를 지키는 문인석(文人石)



무덤을 지키기 위해 사람 형상으로 석조물을 만들어 묘 앞에 세워둔 석물이다. 문관과 무관을 합쳐서 석인(石人)이라 부르는 수호시신(守護侍臣)으로 1쌍씩 마주 보고 세운다. 명칭은 문인석이나 문관석(文官石)이라 부른다.

문인석은 대체로 중계 안에 세운다. 문인석은 문관을 상징하며, 머리에는 금관이나 와룡관 등을 쓰고 공복을 입고 있으며, 허리에는 띠를 두르고, 손에는 홀(笏)을 지니고 있다. 보통 키가 8.3자, 너비 3.0자, 두께 2.3자이다. 그 밑에 받치는 대석은 높이가 3.4자이고, 위 0.6자는 지상에 나오고 2.8자는 땅속에 묻힌다.

중국 전한시대에 시작된 전통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초기부터 왕릉에 나타난다. 고려시대에는 문인석만 배치되다가 14세기에 이르러 무인석을 함께 세우게 되었다. 그러다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조각 양식이 간소화되었다. 문인이 장엄한 호위신령이라는 의미보다는 산자와 이어진 공간을 꾸미는 장식물의 역할만 하게 되었다.

이처럼 문인석과 무인석은 시대에 따라 양식이 다르므로 조각사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비교대상

이완장군묘 문인석



이완장군묘는 시도유형문화재 1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상거리 19-1번지에 위치한다. 이완장군은 조선 효종 때의 무신으로 162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전공을 세운 인물이다. 묘역은 봉분을 중심으로 둘레에 돌담이 둘러져 있고 봉분 앞에는 제물을 차려놓고 제사를 드리기 위한 상석과 향로석, 묘역의 좌우에는 문인석, 망주석이 각각 1쌍씩 있다. 문인석은 묘 앞에 문인의 형상을 하고 있는 석인을 말한다. 이완장군묘의 문인석은 일반적인 문인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머리에 복두를 쓰고 있고, 도포를 입고, 양손에는 홀을 들고 있다. 조각이 섬세하다.



퇴계묘 문인석



퇴계묘소는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건진산 남쪽에 위치한다. 퇴계 이황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성리학자로 이언적의 주리설을 계승하여 이기이원론을 주장하였다. 퇴계묘소는 산의 정상에 있다. 산길에 난 계단을 한참이나 올라가면 퇴계묘소를 만날 수 있다. 묘소는 주변에 소나무가 심어져 있고, 주변으로 석재들이 널려 있다. 봉분 앞에 상석, 향로석, 동자석 1쌍, 묘비, 망주 1쌍, 문인석이 좌우로 놓여 있다. 퇴계묘의 문인석은 키가 낮다. 일반적인 모습을 하고 있으며, 머리에는 복두를 쓰고, 도포를 입고, 양손에는 홀을 들고 있다. 조각의 새김이 간결하게 되어 있다.



안제묘 문인석



안제묘는 경북 안동시 와룡면 중가구동 가느실에 위치한다. 중가구동 길 한쪽편으로 가파른 언덕 중턱에 있다. 안제는 1561년 사마시 합격, 1580년 문과 급제, 성균관 학유, 사헌부 감찰, 사섬시첨정, 형조좌랑, 충청도사, 용궁현감 등을 지냈다. 안제묘의 구성은 봉분 가운데 묘비가 있고, 상석과 향로석이 1기씩 있고, 봉분의 좌우로 각각 망주석과 문인석이 서 있다. 안제묘의 문인석은 특히 아름답다. 키가 크고, 얼굴이 길고 눈가와 입가에 미소가 익살스럽게 잘 표현되어 있다. 머리에는 복두를 쓰고 있고, 양손에 홀을 들고 있고, 도포 가운데 주름을 구름모양으로 아름답게 새겨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