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목조구조물

경계시설
솟대
세중돌박물관 목솟대 오리
세중돌박물관 목솟대 오리_1 돋보기
솟대

기둥에 올린 새



솟대란 나무나 돌로 만든 새를 장대나 돌기둥 위에 앉힌 마을의 신앙 대상물을 일컫는다. 솟대는 마을 사람들이 음력 정월 대보름에 동제를 모실 때, 마을의 안녕과 수호 그리고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입구에 세운다. 솟대는 마을 입구에 홀로 세워지기도 하지만 대부분 장승, 선돌, 탑(돌무더기), 신령스런 나무 등과 함께 세워져 마을의 하당신 또는 상당신이나 주신으로 모셔진다. 솟대 위에는 새의 형상이 있는데 대개 오리라고 불리며 일부 지방에서는 까마귀라고도 부른다. 그밖에 기러기, 갈매기, 까치, 따오기 등을 나타낸다고 생각되기도 한다.



우주나무와 하늘새의 결합



솟대에 대한 신앙은 북아시아 여러 민족에서도 공통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솟대의 발생은 이른바 우주나무(Cosmic Tree)와 하늘새(Sky-Birds)의 결합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주층을 연결시킬 수 있는 우주축으로서 우주나무가 사용되는데, 솟아오르는 식물의 생장력이 하늘 꼭대기까지 뻗어 오른다는 상징성을 가진다. 여기에 우주층을 왕래하는 하나의 사자로서 새가 등장하는 것이다. 한국에 있어서도 청동기시대에 솟대 신앙이 나타난다. 농경신의 사자로서 새에 관한 것이 있고, 청동제 의기로서 솟대의 변형 양식이 나타나 솟대 신앙의 기원으로 생각할 수 있다.



마을을 수호하고, 돛대를 만들고



솟대는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위하여 마을에서 공동으로 세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마을의 허한 곳에 솟대를 세워 마을의 재액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전통사회에서는 행주형 지세의 마을에 돛대를 나타나기 위하여 세우는 경우도 있다. 농경사회에는 강가에 마을이 들어서는 경우가 많았고, 그 형세가 배모양이 많았다. 따라서 마을의 풍년과 안녕을 위해 솟대를 세워 돛의 상징성을 부여하기도 하였다. 이밖에도 과거 급제를 기념하기 위하여 세우는 예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