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생활공간

반가구역
행랑채
행랑채

종가 행랑채

일반정보

집안의 잡일을 맡는 곳



행랑채는 신분이 낮은 노비들이 거주하던 곳이다. 따라서 행랑채는 이들의 생활공간이기 때문에 주인의 생활공간보다 격이 낮게 지어진다. 또한 외부와 내부의 연결된 곳에 행랑채를 배치하기도 한다. 노비들의 거처와 마구간, 창고 등이 배치되기 때문에 주로 옥외 작업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대문에 들면 사랑마당이 되기도 하고 행랑마당이 되기도 한다. 행랑마당에서는 가마고와 마굿간, 혹은 외양간이 있어서 소 먹일 풀을 말리고 쇠죽을 끓이기도 한다. 이러한 공간은 3면만이 벽체로 이루어졌고 문이 없어 반 내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대문채에 딸린 작은 생활공간



행랑채는 대문채와 같은 영역 안에 있다. 대문을 열어주거나 외부 공간으로 발 빠르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외부 공간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대문채와 붙어 있거나 행랑 따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대문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다. 행랑채는 노비의 거주공간이기 때문에 작업공간과 취침공간이 같이 있는 간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집의 규모와 노비의 수에 따라 작게는 대문채에 딸린 것에서 따로 3-5칸 규모의 행랑을 설치한다. 이 행랑채는 기본적으로 기거할 수 있는 온돌과 살림을 할 수 있는 부엌이 설치된다. 또한 온돌 앞에 툇마루를 설치하여 툇마루를 작업공간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전문정보

노비들의 생활공간, 행랑채



행랑채는 신분이 낮은 노비들이 거주하던 곳이다. 따라서 이들의 생활공간이기 때문에 주인의 생활공간보다 격이 낮게 지어진다. 또한 외부와 내부의 연결된 곳에 행랑채를 배치하기도 한다. 노비들의 거처와 마구간, 창고 등이 배치되기 때문에 주로 옥외 작업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대문에 들면 사랑마당이 되기도 하고 행랑마당이 되기도 한다. 행랑마당에서는 가마고와 마굿간, 혹은 외양간이 있어서 소 먹일 풀을 말리고 쇠죽을 끓이기도 한다. 이러한 공간은 3면만이 벽체로 이루어졌고 문이 없어 반 내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행랑채에는 이러한 공간 외에도 여러 노비들의 거주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노비 한 가족에게 방 하나에 군불을 뗄 수 있는 부엌이 할당되어 있다.

행랑채는 대문채와 같은 영역 안에 있다. 대문을 열어주거나 외부 공간으로 발 빠르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외부 공간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대문채와 붙어 있거나 행랑을 따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대문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다.

행랑에 기거하는 사람은 주인을 모시는 노비이다. 따라서 노비의 거주공간이기 때문에 작업공간과 취침공간이 같이 있는 간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집의 규모와 노비의 수에 따라 작게는 대문채에 딸린 것에서 따로 3-5칸 규모의 행랑을 설치한다. 이 행랑채는 기본적으로 기거할 수 있는 온돌과 살림을 할 수 있는 부엌이 설치된다. 또한 온돌 앞에 툇마루를 설치하여 툇마루를 작업공간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행랑채에는 장작 광이 있기도 하는데 여기서 장작을 패기도 하며 안채 주위의 장작 광으로 옮기기도 한다.

비교대상

양동수졸당 행랑채



양동수졸당은 중요민속자료 78호에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212번지에 위치한다. 수졸당은 이언적의 넷째 손자 이의잠이 세운 것으로 그의 호를 따서 수졸당이라 하였다. ㄱ자형 안채와 一자형의 사랑채, 행랑채, 곳간채가 합쳐 口자형을 이루고 있다. 행랑채는 안채로 들어가는 문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행랑채의 중앙에는 온돌방이 놓여져 있고, 왼쪽에는 반 칸의 부엌이 있다. 행랑채의 오른쪽에는 고방이 설치되어 있다.



괴시물소와고택 행랑채



괴시물소와고택은 문화재자료 19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334번지에 위치한다. 괴시리는 영양 남씨의 전통마을이다. 물소와고택은 남유진이 지은 건물로 그 시기는 정확하지 않다. 정면 5칸, 측면 6칸의 규모이며, 口자형의 평면구조를 가지고 있다. 정침, 고방중문, 사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랑은 정침으로 들어가는 바깥에 설치되어 있다. 중앙에 대문을 끼고 오른쪽에 행랑이 있는데, 2칸의 온돌방과 1칸의 부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면 앞쪽에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공간과 생활공간을 겸하고 있다.



의성김씨학봉종택 행랑채



의성김씨학봉종택은 시도기념물 11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856번지에 위치한다. 학봉종택은 조선 중기 문신 학봉 김성일의 종가이다. 김성일은 퇴계의 제자로 뛰어난 성리학자이고,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인물이다. 종가는 안채, 사랑채와 문간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간채의 왼쪽에 행랑채가 놓여 있다. 행랑채는 대문채 가까이 위치되어 있으며, 안채로 들어가는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다. 정면 6칸, 측면 2칸의 규모이며, 문이 2칸을 차지하고 있다. 온돌방에는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