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목조건축물

교육시설
동서재
동서재

서원 동서재

일반정보

공경하고 삼가는 학생들의 생활공간



서원의 기숙사인 재사는 원생들이 머물면서 공부하는 곳이다. 재실은 강당과 더불어 교육공간을 이루는 주요한 요소이다. 동서재는 대개 강당의 앞이나 뒤쪽 좌우에 자리 잡는다. 강당에서 볼 때 왼쪽을 동재, 오른쪽을 서재라고 한다. 동재에는 서재보다 선배급 원생이 머물고, 서재에는 후배이거나 신분이 다른 평민이 머물렀다. 서원의 동서재에 학생 수가 매우 적었는데, 실제로 동재와 서재를 모두 합쳐 머물 수 있는 생도들의 수는 10명 내지 20명 정도 밖에는 안 되었다. 재실의 명칭은 거의 OO재인데 기숙사에서는 늘 삼가면서 몸과 마음을 닦는다는 뜻을 담고 있다.



강당보다 낮은 자리에 작은 규모로 지어진 교육공간



강당과 직각으로 마주보게 2동의 건물을 대칭하여 마당을 형성한다. 이렇게 동, 서재는 서로 대칭적 구조를 따르기 때문에 보통 동재는 서향을 하게 되어 햇빛 방향에 불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재가 서재보다 위계적으로 우선한다. 서원의 배치형태는 강당이 앞에 있고 사당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형’이 대부분이고 그 반대인 ‘전묘후학형’이 드물게 보인다. ‘전학후묘형’ 안에서도 동서재가 강당 앞에 놓이는 ‘전재후당형’과 동서재가 강당의 뒤에 위치하는 ‘전당후재형’으로 나뉜다. 재실은 보통 정면 3칸이나 5칸 정도이며 구조는 다양하다. 마루를 두고 양쪽에 온돌을 두거나, 전체를 온돌로 하는 경우도 있다.

전문정보

서원 학생들의 기숙사, 동서재(東西齋)



서원의 기숙사인 재사(齋舍)는 원생(院生)들이 머물면서 공부하는 곳이다. 대개 강당의 앞이나 뒤쪽 좌우에 자리 잡는다. 강당에서 볼 때 왼쪽을 동재(東齋), 오른쪽을 서재(西齋)라고 한다. 강당과 동서 양재는 직각으로 놓여 그 가운데 강당 마당을 형성하여 서원의 핵심 공간을 만든다. 동재에는 서재보다 선배급 원생이 머무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리고 서재에는 후배이거나 신분이 다른 평민이 머물렀다. 서원의 학생 수가 매우 적었는데, 실제로 동재와 서재를 모두 합쳐 머물 수 있는 생도(生徒)들의 수는 10명 내지 20명 정도 밖에는 안 되었다.

재실의 명칭은 거의 OO재(齋)이다. 재는 공경하고 삼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유학적 수양의 의미를 담도록 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도산서원(陶山書院)의 홍의재(弘毅齋)와 박약재(博約齋), 도동서원(道東書院)의 거인재(居仁齋)와 거의재(居義齋)이다. 기숙사에서는 늘 삼가면서 몸과 마음을 닦는다는 뜻을 담고 있다.

재실은 강당과 더불어 교육공간을 이루는 주요한 요소이다. 강당과 직각으로 마주보게 2동의 건물을 대칭하여 마당을 형성한다. 이렇게 동, 서재는 서로 대칭적 구조를 따르기 때문에 보통 동재는 서향(西向)을 하게 되어 햇빛 방향에 불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재가 서재보다 위계적으로 우선한다.

강당과 재실의 관계가 중요한 것은 서원의 전체 배치형태를 나눌 때 중요하게 작용한다. 공립학교인 향교(鄕校)와 마찬가지로 서원도 제사공간과 교육공간의 관계에 따라 ‘전학후묘(前學後廟)’, ‘전묘후학(前廟後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 가운데 특히 ‘전학후묘’ 형식 안에서도 동서재가 강당 앞에 놓이는 ‘전재후당(前齋後堂)’ 형태와 동서재가 강당의 뒤에 위치하는 ‘전당후재(前堂後齋)’ 형태로 나뉜다. 대부분의 서원은 ‘전재후당형’을 따르지만, 필암서원(筆巖書院), 덕봉서원(德峰書院), 흥암서원(興巖書院)은 ‘전당후재형’을 따르고 있다. 그런데 전당후재형의 경우, 강당의 정면은 앞이 아니라 동서재가 놓이는 뒤가 된다. 강당과 동서재로 이루어진 뒤쪽 마당의 나머지 한 면에는 사당(祠堂)이 놓인다. 강당에서 사당을 바라보게 되므로 사당이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재실은 보통 정면 3칸이나 5칸 정도이며 구조는 다양하다. 가운데 마루를 두고 양쪽에 온돌(溫突)을 두거나, 아니면 전체를 온돌로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강당보다 작고 부속적이어야 한다는 원칙이 있다. 강당과 재실은 마치 스승과 제자의 사이와 같아 재실은 항상 강당보다 규모가 작고, 낮은 곳에 위치하여 유교적 위계질서 그대로 적용하였다.

비교대상

도동서원 거의재 거인재



도동서원은 보물 35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35번지에 위치한다. 수월루를 지나 환주문에 도달한다. 그 환주문을 지나면 정면에 구인당이 보이는데, 이 아래로 거의재와 거인재가 서로 마주보고 있다. 도동서원의 거의재와 거인재는 서원의 규모에 비하여 작다. 평면 구성은 정면 3칸, 측면 1칸이다. 강당 쪽 2칸은 온돌로, 나머지 1칸은 대청이다. 온돌방에는 따로 측면 반 칸의 툇간을 두고 있다. 동서재의 지붕은 맞배지붕 형태로 소박하게 지어진 건물이다. 이 도동서원 동서재의 건축 양식이 가장 많이 보인다.



도산서원 홍의재 박약재



도산서원은 사적 1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번지에 위치한다. 진도문을 지나면 전교당과 마주하고 아래로 ‘홍의재’와 ‘박약재’가 서로 마주보고 나란히 서있다. <<논어>>에서 따온 이 이름은 ‘널리 공부하여 예의로 묶어 내며’ ‘너른 마음과 굳센 의지를 길러내라’는 뜻을 담고 있다. 몸과 마음을 갈고 닦는 곳이라는 당부를 담고 있는 건물로 크기와 모양이 같다. 홍의재와 박약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이루어져 있고, 2칸의 큰 방과 1칸의 작은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 앞에는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어 비상시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배려되어 있다.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옥산서원 동서재



옥산서원은 사적 15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면 7번지에 위치한다. 구인당 앞 좌우의 동재와 서재는 옥산서원의 교육공간을 만든다. 옥산서원의 동, 서재는 서로 대칭적으로 마주보고 있다. 평면 구성은 정면 5칸, 측면 1칸으로 강당 쪽의 1칸은 대청으로, 다음 2칸은 온돌방으로, 다시 1칸의 대청을 두고, 마지막 1칸은 대청을 두고 있다. 대청은 따로 문을 두지 않고, 정면 전체에 측면 반 칸의 툇간을 덧대어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옥산서원의 동, 서재는 원 기둥을 사용하고 있고, 5칸의 정면을 두어 넓어 보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지붕은 맞배지붕이며, 옆면의 풍판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