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석조건축물

군사시설
성곽
문경새재 주흘관 전경
문경새재 주흘관 전경_1 돋보기
성곽

성곽의 나라에 세워진 산성과 읍성



조선 세종 때에 양성지가 ‘우리나라는 성곽의 나라’라고 말할 정도로 전국에 수많은 성을 쌓았다. 본래 성곽에서 성은 안쪽에 세우는 내성을 말하고 곽은 내성을 보호하는 외성을 말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명확히 구분하지 않는 편이다. 성곽은 건설 위치에 따라 크게 산성과 평지성으로 나눌 수 있다. 산성은 험한 지형을 이용해서 방어에 유리하고, 평지성은 행정의 중심지로서 대부분 읍성의 형태를 띠고 있다. 이 둘의 장점을 수용하여 배후지에 산을 두르고 있는 평산성도 보인다. 성곽을 건설하는 재료로는 돌로 만드는 석축성, 흙으로 만드는 토축성, 둘을 함께 사용한 토석축성, 벽돌로 만드는 전축성으로 나눌 수 있다.



성곽 건축의 절정을 보여주는 성문과 성벽



화약과 화포의 등장은 성곽 건축에서도 매우 큰 변화를 가져왔다. 높고 긴 성벽의 효율성이 떨어졌다. 그래서 성벽을 낮추고 요소요소에 화포를 설치할 수 있는 시설이나 화포공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튀어나오거나 굴곡된 성벽을 많이 지었다. 그 가운데 성곽에서 가장 중요한 시설인 성문을 보호하는 옹성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성문은 성 안팎을 연결하는 관문인 동시에 지휘소로서 적의 주요 공격목표가 된다. 문루 자체도 견고하고 위압적으로 만들 뿐만 아니라 적대와 여장 등 갖가지 방어시설을 거느리고 있다. 아치형의 무지개 구조를 채택하고 문짝에 철판을 붙여서 공격에 대비하였다.



효율적인 방어와 경계를 위한 포루와 여장



성문과 성문 사이를 연결하는 성벽에는 갖가지 방어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대표적인 것이 치성, 포루, 여장이다. 성벽 가운데 밖으로 원형이나 방형으로 튀어나온 치성과 그 위에 누각을 지어서 세운 포루가 있다. 치성과 포루는 성벽을 보호하고, 적의 동태를 경계하면서 적의 공격을 물리치는 시설이다. 성벽도 초기의 단순한 방벽의 모습에서 다양한 형태의 여장으로 발전하였다. 여장은 일반적으로 총이나 활을 쏘는 총구멍이라고 할 수 있는 총안과 담 중간 중간에 잘려져 있는 타구가 설치되어 있다. 총안과 타구의 밑면은 밖을 향해서 경사져 있어 근접한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모두가 성벽 방어시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