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목조건축물

제사시설
가묘
임청각 사당 외부 전경
임청각 사당 외부 전경_1 돋보기
가묘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곳



가묘란 조상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지내는 곳이다. 이는 곧 조상의 영혼을 모신 곳이다. 황제의 선조들을 모신 사당을 태묘, 제후국의 선조들을 모신 사당을 종묘라고 한다. 그리고 사대부들의 선조를 모신 사당을 가묘라고 부른다. 일반 서민들은 사당을 세우지 못하고 집안의 몸채인 정침에서 부모의 제사만 올리게 되어 있었다. 또 공자와 여러 유교 선현들을 모신 사당을 문묘라고 하는데 서울의 성균관과 지방의 향교에 설치되었다. 가묘는 제사를 올리기 위해 세워진 곳이다. 제사는 사당에서 올리는 것이 원칙이지만, 장소가 좁은 경우에는 신주를 정침으로 모시고 와서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집안의 동북쪽 신성한 곳



사당은 보통 살림집의 동북쪽에 짓는다. 죽은 사람의 공간으로 평소 사람들의 출입이 적고, 집에서 가장 서열이 높은 위쪽, 즉 북쪽에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사당의 내부 구조는 사당 안의 북쪽에 시렁을 메고 4칸으로 격판을 세워 감실을 만든다. 죽은 사람은 서쪽이 상위이므로 서쪽에서부터 조상의 신주를 순서대로 모신다. 제사를 지내지 않는 조상의 감실은 비워 둔다. 사당에는 두 개의 계단이 있는데 동쪽 계단을 조계, 서쪽 계단을 서계라고 한다. 조계는 오로지 주인만이 오르내릴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은 중문 안으로 오르내릴 때 오직 서쪽 계단만을 이용하도록 한다.

조선의 윤리질서를 유지하는 제사시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 나라마다 시조 왕들을 제사하기 위한 사당들이 세워졌는데, 이곳이 역대 왕들을 모시는 종묘로 발전하였다. 이후 우리나라 왕실에서는 종묘를 세우는 것이 불변의 전통이 되었다. 그러나 불교가 사회이념으로 자리 잡았던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는 일반 귀족들 사이에서 사당이 성행하지 않았다. 고려시대 말기 성리학이 보급되면서 가묘가 생기기 시작하였고, 성리학이 통치이념으로 정립된 조선시대에는 대부분의 양반 가문에서 집안에 가묘를 짓게 되었다. 4대 이내의 선조나 불천위 제사를 모시는 가묘는 삶의 중심으로 집안의 크고 작은 일을 처리할 때 예절을 갖추는 곳이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