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생활공간

민가구역
초가ㄱ자형
초가 ㄱ자집(유영하 가옥) 가상복원_0 돋보기
초가ㄱ자형

민가 초가ㄱ자형

일반정보

초가 위주의 서민의 집, 민가



민가는 궁궐, 관아, 사찰 등의 공적인 건축공간과 대비되는 사적인 건축공간으로 위로는 공경대부로부터 아래로는 천민에 이르기까지 ‘모든 백성들의 집’을 말한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는 공경대부 등 양반계층의 집을 제외한 일반 서민들의 집을 일컫는 말이다. 기와집 중심의 양반들의 집과 달리 민가는 대부분 초가이다. 초가는 흙과 돌을 이용해 사방을 토담으로 둘러쌓은 토담집과, 측면과 뒷면을 흙담으로 쌓아 전퇴를 내고 통나무 또는 대패질을 한 사각기둥을 세워 서까래를 걸치고 산자를 엮어 알매를 얹은 후, 볏짚이나 억새풀, 띠풀, 갈대 등으로 지붕을 덮은 집들을 통틀어서 일컫는 이름이다.



부엌의 축을 달리한 민가, ㄱ자집



ㄱ자집은 부엌-안방-마루-건넌방으로 구성되는데, 안방에서 꺾여 부엌의 축을 달리해 ㄱ자형을 이루는 초가집이다. 경기, 충청도지방에서는 고패집이라고도 부른다. ㄱ자집 중 평면은 완연한 ㄱ자형이지만 지붕구조는 一자형의 우진각에서 정지 쪽으로 서까래가 삐져나와 ㄱ자를 이루며 정지 벽체는 보통 벽 높이의 반 정도에서 그치는 유형이 있다. 또한 중앙의 봉당을 일부 막아 흙바닥 그대로 고방으로 사용하는 유형이 있고, ㄱ자집의 공간 구성에 부엌 앞으로 방을 덧댄 유형도 있다. 이 경우 부엌과 마루 앞의 흙 기단의 형성이 특이해서 기단의 형상이 여간집의 봉당을 방불케 하는 변용을 보이고 있다.

전문정보

민가의 구조, 홑집과 겹집



민가의 구조는 크게 겹집과 홑집으로 나뉜다. 겹집이란 대들보 아래에 방을 2열로 배치한 형태의 가옥이다. 겹집의 분포 지역은 함경남북도, 평안도의 압록강 연안 산지,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의 양사면 산지 등이다. 겹집은 중국의 만주지방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우리 나라의 겹집은 일본의 그것과 유사한 특징을 보여주는 반면, 중국의 그것과는 매우 다르다. 우선 평면의 공간 배치에서 중국은 주방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공간 배치를 이루는데,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비대칭 구조를 이룬다. 다음으로 외양간의 위치가 다르다. 중국에서는 외양간이 별개의 건물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외양간이 부엌 내에 있거나 인접하여 위치한다.

우리나라의 겹집은 내부의 공간 배치 및 구조에 의해 5실형, 4실형, 3실형, 측입형(側入型)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5실형은 관북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일본의 광간형(廣間型)과 유사하다. 오실형의 가장 큰 특징은 정지(부엌)와 방 사이에 정주간이 위치하는 것이다. 정주간은 매우 발달된 형태의 온돌방으로 정지와 정주간 사이에는 벽이 없는 것이 일반적이나 점차 벽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 가옥 형태에서 정주간은 핵심적 공간이다. 겨울에는 침실로 사용되고, 평상시에는 식당 및 주부의 접객 공간으로 사용되는 다목적 공간이다.

일본의 광간형에는 히로마(廣間)가 있는데 기능은 정주간과 동일하나 온돌이 없다. 정주간에 잇닿아서 4개의 방이 田자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이 방들은 안방, 아랫방, 웃방, 고방으로 나뉘어 있다. 마구(외양간)가 정지(부엌) 내에 있거나 정지와 잇닿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4실형은 대체로 강원도 동부에서부터 경상북도 북동부 지역에 분포한다. 내부 구조는 정지(부엌)와 방(온돌)이 균등하게 양분되며, 방은 田자 모양으로 4개로 분할되어 일본의 田자형과 매우 유사하다. 오실형에서 정주간을 뺀 모습이다. 정지는 내부 면적의 1/2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넓게 되어 있다. 정지는 취사, 작업, 연료 저장 등의 장소로 이용된다. 전자(田字)의 방은 안방, 아랫사랑, 윗사랑, 도장방으로 분할되고 사랑방 중 하나가 마루로 된 경우도 있다. 마구의 위치는 5실형과 비슷하다.

3실형은 제주도에 분포한다. 3칸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며 정지, 상방, 온돌, 고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지의 기능은 5실형, 4실형의 경우와 비슷하나 취사시의 열을 난방에 이용하지 않는 점이 다르다. 즉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의 부엌은 아궁이가 방을 향해 온돌과 연결되어 있어 취사열을 이용해 난방을 하도록 되어 있으나 제주도의 정지는 방과 반대쪽으로 아궁이가 놓여 있다. 제주도의 3실형 가옥에서는 상방이 중심으로 평면의 중앙에 상방이 놓여 있다. 상방은 대부분 마루를 깔았으나 마루를 깔지 않은 경우에도 상방이라 부른다. 상방은 제사, 가족 모임, 침실(여름), 접객, 식당 등의 용도로 이용된다. 방은 온돌방과 고방으로 구분된다. 온돌방을 제주도에서는 구들이라 부르는데 온돌은 육지에 비해 매우 뒤떨어져 있다. 고방은 곡식을 저장하는 곳으로 온돌이 설치되어있지 않으며 대부분 흙바닥이나 마루를 깐 경우도 있다.

측입형은 일반적 가옥 형태에서는 측면이 되는 부분이 전면이 된 형태의 가옥이다. 즉 일반적으로는 가옥의 전면과 지붕의 용마루가 평행하게 된다. 그러나 측입형 가옥은 가옥의 전면과 지붕의 용마루가 직각이 되어 지붕의 측면 쪽에 가옥의 전면이 위치한다. 측입형 가옥은 4실형 분포 지역의 남쪽인 강원도 삼척군 도계읍 신리와 같은 군 원덕면 동활리에 분포한다. 이 측입형 가옥은 겹집이면서도 주변의 5실형 또는 4실형 가옥들과는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 가옥의 평면 형태면에서 5실형과 4실형이 장방형의 一자 형태이지만, 측입형은 정방형이다. 둘째, 5실형과 4실형은 마루방이 없는 것이 일반적인 반면, 측입형에서는 중앙에 마루방이 있다. 셋째, 다른 겹집들과 달리 온돌 구조가 잘 발달되어 있지 못하다. 대신 정지에 불을 담아 두는 ‘화루(화티)’라 불리는 노(爐)를 설치하였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온난한 남부지방에 주로 분포했던 가옥 형태일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마구의 위치와 구조는 5실형과 같다.

홑집은 대들보 아래에 방을 1열로 배치한 형태의 가옥이다. 홑집은 우리나라의 서부와 남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서남부는 북동부에 비해 산지가 적고 평야가 많으며 곡창에 해당된다. 홑집은 중국에도 넓게 분포한다. 그러나 중국의 민가는 부엌을 중심으로 대칭적 구조를 이루는 반면 우리나라의 민가는 대부분 비대칭적 구조를 이룬다. 홑집은 본채의 외곽 형태에 의해 一자형과 ㄱ자형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一자형은 부엌과 방이 일직선으로 배열된 형태로 평면의 모양은 장방형이다. 주로 관서지방과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건물이 본채만 있는 경우는 一자형이나 부속 건물이 별동으로 본채와 나란하게 배치된 二자형이 일반적이다.

일자형의 내부 공간 배치는 관서지방과 남부지방이 달리 나타난다. 관서지방의 경우 정지(부엌), 안방, 웃방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어 부엌에서 모든 방의 난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남부지방의 가옥은 외부 형태는 관서지방과 유사하여 一자 또는 二자형이 많으나 내부 공간 배치에 있어서 다르다. 남부지방의 가옥에는 일반적으로 대청이 마련되어 있으며, 본채는 부엌, 큰방, 대청, 작은방의 순으로 배열된다. 또한 남부지방 가옥의 특징은 개방적 구조를 갖는다는 점이다. 대청은 대개 집의 중앙에 위치하며 방의 문이 넓다. 별채에는 곳간, 외양간, 사랑방 등이 배열되며 본채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중부지방에는 본채가 ㄱ자형으로 구부러진 가옥이 많다. ㄱ자형의 본채에 부속 건물이 부가되면, ㄷ, 口자형을 이루게 된다. 중부지방의 황자득가옥은 안방, 대청(마루), 건넌방을 일자로 배열한 후 안방의 전면 쪽으로 부엌이 돌출되어 이루어진 형태이다. 따라서 안방과 건넌방이 개별적인 난방 장치를 갖춘 점이 관서지방의 ㄱ자형과 다른 점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원래 우리나라의 서부와 남부에는 일자형의 홑집이 주로 분포해 있었으나 중국의 양자강 하류 지역으로부터 자형의 민가가 서울에 전파되어 그것이 확산됨으로써 일자형 홑집이 남과 북으로 분리된 것이라 생각 된다.

비교대상

하회 유영하가옥



하회 유영하가옥은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의 하회전통마을 내에 위치한다. 이 가옥은 정면 4칸에 부엌을 덧달아 ㄱ자의 평면구조를 이루고 있다. 정면은 왼쪽에 온돌을 설치하고, 가운데 2칸은 대청으로, 오른쪽 1칸은 온돌방으로 되어 있다. 덧된 오른쪽에는 부엌을 설치하여 오른쪽에 안방을 두었다. 왼쪽 온돌에는 정면에 아궁이를 설치하여 건넌방으로 사용하고, 대청은 정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다. 왼쪽의 안방은 부엌의 아궁이를 이용하여 난방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온돌방은 각 방향으로 4개의 문이 설치되어 있어 출입을 쉽게 한다.



하회ㄱ자형초가



하회ㄱ자형 초가는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의 하회전통마을 내에 위치한다. 이 가옥은 정면 4칸에 창고를 덧달아 ㄱ자형 평면구조를 가지고 있다. 정면 왼쪽은 부엌, 안방, 대청, 건넌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넌방에는 창고를 덧달고, 창고에 아궁이를 설치한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단 역시 정면 3칸만 기단이 조성되어 있고, 오른쪽에 덧달은 구조에는 기단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 정면 가운데는 대청이 1칸 마련되어 있는데, 천장은 연등천정으로 되어 있고, 마루는 우물마루를 설치하고, 뒷면에는 띠살문을 설치하고 있다.



왕곡 신춘배가옥



왕곡 신춘배가옥은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 왕곡마을에 위치한다. 신춘배가옥은 정면 3칸에 곳간채를 덧달아 ㄱ자를 이룬 가옥이다. 기단은 막돌기단으로 높지 않게 조성되어 있으나, 온돌방의 출입문은 상당히 높이 달려 있어 뎃돌을 딛고 오르게 되어 있다. 마루 없이 온돌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왼쪽 측면에 연통이 2개 달린 굴뚝이 인상적이다. 오른쪽의 곳간채는 문은 외판작문이며, 벽면은 나무로 되어 있어 통풍을 고려한 형태로 지어졌다. 이 왕곡마을은 산간지방으로 높은 온돌방과 ㄱ자로 덧달은 곳간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