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목조건축물

서민주택
초가사간
초가사간집(하회 권석호 가옥) 가상복원_0 돋보기
초가사간

민가 초가사간

일반정보

초가 위주의 서민의 집, 민가



민가는 궁궐, 관아, 사찰 등의 공적인 건축공간과 대비되는 사적인 건축공간으로 위로는 공경대부로부터 아래로는 천민에 이르기까지 ‘모든 백성들의 집’을 말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공경대부 등 양반계층의 집을 제외한 일반 서민들의 집을 일컫는 말이다. 기와집 중심의 양반들의 집과 달리 민가는 대부분 초가이다. 초가는 흙과 돌을 이용해 사방을 토담으로 둘러쌓은 토담집과, 측면과 뒷면을 흙담으로 쌓아 전퇴를 내고 통나무 또는 대패질을 한 사각기둥을 세워 서까래를 걸치고 산자를 엮어 알매를 얹은 후, 볏짚이나 억새풀, 띠풀, 갈대 등으로 지붕을 덮은 집들을 통틀어서 일컫는 이름이다.



남동해안 민가의 일반형, 사간집



사간집은 우리나라 남동해안 민가의 전형적인 유형으로 삼간집에서 온돌방이 하나 더 추가되어, 정지-큰방-안청-작은방의 순서로 구성된다. 사간집은 퇴가 발달한 유형과 횡분할 유형으로 구분된다. 퇴발달형은 4칸의 구성에서 정지를 돌출시켜 전면의 퇴를 형성하여 봉당 혹은 흙마루라고 부르면서 그대로 사용한다. 횡분할형은 횡분할되어 마루 가운데 작은방의 앞쪽에 설치된 경우이다. 사간집 중 영남형은 정지-큰방-마루-작은방의 사간집에서 마루가 전면으로 개방된 유형으로 안동의 하회마을에서 많은 분포를 보이는 민가이다. 영남형 사간집은 일정한 경제력을 갖춘 계층의 집으로서 정식으로 1칸 짜리의 마루를 채택하고 있다.

전문정보

개방적이고 자연친화적 구조의 홑집



한국의 민가는 대들보 아래에 방을 일렬로 배치한 홑집과 이열로 배치한 겹집으로 구분된다. 겹집의 분포 지역은 한반도 동북지방으로, 관북지방, 평안남북도 압록강 연안의 산지, 강원도 동부의 태백산맥 양사면, 경상북도의 중부지방에까지 분포하고 있다. 대체로 과거의 화전 경작지대와 일치한다.

대들보 아래로 방을 일렬로 배치한 홑집은 한반도의 서부와 남부에 분포되어 있다. 이 지역은 산악이 비교적 적고 평야가 많은 지역으로서 곡창지대에 해당된다. 따라서 인구밀도가 조밀하고, 산림자원이 적기 때문에 겹집보다 규모가 작은 홑집이 넓게 분포되었다. 홑집은 채광이 양호하기 때문에 한서의 차가 큰 한반도의 기후에 적합한 형태이다.

홑집은 크게 직가형과 곡가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는 一자형이 기본형이며, 一자형의 몸채에 별동의 부속 건물이 부가되어 분리된 二자형, ㄱ자형, ㄷ자형, 口자형 등의 변형이 형성되었다. 후자는 ㄱ자형이 기본이며, 여기에도 ㄷ자형, 口자형, 「 」자형 등의 변형이 있다.

사간집은 홑집에 속하는데, 홑집의 칸 구성은 장단변의 비가 커서 열손실이 많기에 여름에 유리한 형이다. 또한 홑집의 각 방은 전면에 트인 전경을 두고 있고 통풍이나 일조가 좋아서 정서상 뛰어나며 외부 공간을 내부로 끌어들이는 자연친화적 배치형태이다. 특히 사랑방은 가장자리 방이 되기 쉬워 보통 마루를 내어 자연의 풍류를 적극적으로 즐기기도 했다.

홑집의 각 방은 인접해 있지만 벽으로 구획되어 있어서 각 방으로의 출입은 보통 외부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전후 개방적이긴 하지만 좌우로는 방 사이의 연결이 외부를 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반면, 방 사이 벽체의 구획으로 프라이버시가 좋아져서 개인의 내부 생활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워진다.

또한 실의 깊이가 얕은 홑집의 칸구성은 남동해안지방의 습한 공기가 실내에 머무르지 않고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져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게 한다. 또한 각 방 모두 채광이나 일사 등의 환경이 균등하여 거실로서의 기능이 우수하다.

홑집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외부로의 개방성이다. 집안은 겨울철에 잠을 자는 곳일 뿐 대부분의 생활이 안채의 외부에서 이루어진다. 곡식의 가공과 처리는 물론 연료도 마당의 한 곳에 저장한다. 또한 마루는 곡물을 수장하는 공간이고 성주독을 모시는 공간이며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주로 쓰이므로 일상적인 생활공간으로서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낮다.

홑집은 상대적으로 더운 남부지방에 주로 분포하므로 전염병 예방을 위한 위생관념도 뚜렷해 외양간은 안채와 분리된다.

홑집의 부엌은 대개 출입문이 이가 맞지 않거나 그나마도 없는 집이 있을 정도로 늘 열려 있는 형태이다. 그것은 부엌에의 출입빈도가 그 만큼 높기 때문이다. 또한 앞이나 뒤의 문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은 문을 두지 않는 것이 오히려 편할 만큼 출입이 잦고 앞뒤 마당과의 연속공간적 성격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즉, 부엌 앞문 옆에는 으레 마굿간으로 갈 음식 찌꺼기 수집통이 있고 축담 위에는 가사와 관련된 집기 등이 늘어서 있으며, 뒤안이나 앞마당에는 장독대가 있어 저장 음식을 부엌에서 쉽게 가져올 수 있게 했다.

비교대상

하회 권석호가옥



하회 권석호가옥은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의 하회전통마을 내에 위치한다. 이 가옥은 4칸의 기본구조를 가지고 있다. 오른쪽부터 건넌방, 대청마루, 안방, 부엌의 평면구조를 가진 一자형 건물이다. 기단은 막돌이 낮게 쌓아져 있다. 건넌방은 정면에 아궁이가 설치되어 있어 이것을 통해 난방을 하며, 안방은 부엌의 아궁이를 통해 난방을 해결하고 있다. 대청은 문짝 없이 트인 마루로 되어 있다 이 가옥은 기본 3칸형에서 마루가 추가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안동 사월동초가토담집



안동 사월동초가토담집은 시도민속자료 1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안동시 성곡동 산 225-1번지에 위치한다. 이 가옥은 토담집으로 기둥을 세우지 않은 판축건물이다. 도리, 서까래, 문틀만 목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흙을 두껍게 쌓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벽이 다른 가옥들보다 두꺼워 단열에 특히 탁월하다. 이 가옥은 4칸의 변형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오른쪽 부엌에 반칸을 덧붙인 형태이다. 사월동초가토담집은 3칸의 온돌방과 1칸의 부엌의 평면구조를 가지고 있고, 온돌방문은 외여닫이가 달려 있다. 온돌방이 높아 방으로 들어서기 위해서는 뗏돌을 딛고 서야 한다.



하회 초가 사간집



하회 초가 사간집은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의 하회전통마을 내에 위치한다. 이 가옥은 기본 4칸초가에 충실하다. 오른쪽에 부엌이, 다음으로 안방, 대청, 건넌방의 평면구조를 가지고 있다. 부엌은 2짝의 판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대청과 온돌에는 여닫이 문이 설치되어 있다. 온돌방에는 각각 외여닫이문이 달려 있고, 대청에는 쌍여닫이문이 달려 있다. 가운데 대청에 쌍여닫이문을 설치하여 폐쇄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대청의 후면에는 툇칸을 설치하여 뒤쪽으로 출입을 편하게 하고 있다. 왼쪽 온돌방은 독립된 아궁이를 설치하고, 왼쪽의 안방은 부엌을 통해 이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