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유형별 전통건축>석조구조물>석조장식>분묘 장식물 향로석
URL

석조구조물

석조장식
분묘 장식물 향로석
이완장군묘 향로석 가상복원_0 돋보기
분묘 장식물 향로석

분묘 장식물 향로석

일반정보

선조의 혼백을 부르는 향로 자리



향로석은 상석 앞에 향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둔 석물이다. 향로석은 향안석이라고 하며 그 규모와 형태는 향탁과 통하는 것이다. 향탁은 향안이나 향상이라고도 한다.

일반 산소에서는 상석 정면 중앙에 향로석을 설치한다. 그 크기는 상면 1자X1.2자 정도의 안상과 같은 구름 모양의 운족을 새긴 탁자모양의 대석이다. 그 높이는 상석의 윗면에서 0.5-0.8자 밑으로 낮게 설치하여 향로를 올려놓을 수 있게 배려한다.



상석 앞에 이어 설치한 석물



향로석은 보통 상석 앞에 잇대어 설치하지만 옆에 따로 띄어 놓고 또 술통을 올려놓은 준석과 같이 설치할 때도 있다. 준석의 크기 모양은 향로석과 같으나 이것은 따로 독립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4방에 개다리형을 새기는데 중간은 파내지 않는다. 개다리모양을 운족이라고도 한다.

주위의 잡스러운 냄새를 제거하여 엄숙한 분위기의 성역을 이룬다는 의미로 향을 피운다.

전문정보

향로를 올려놓는 받침대 향로석(香爐石)



향로석은 상석 앞에 향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둔 석물이다.

향로석은 향안석(香案石)이라고 하며 그 규모와 형태는 향탁(香卓)과 통하는 것이다. 향탁은 향안(香案)이나 향상(香床)이라고도 한다.

일반 산소에서는 상석 정면 중앙에 향로석을 설치한다. 그 크기는 상면 1자X1.2자 정도의 안상(案上)과 같은 구름 모양의 운족(雲足, 足石)을 새긴 탁자모양의 대석(臺石)이다. 그 높이는 상석의 윗면에서 0.5-0.8자 밑으로 낮게 설치하여 향로를 올려놓을 수 있게 배려한다.

향로석은 보통 상석 앞에 잇대어 설치하지만 옆에 따로 띄어 놓고 또 술통을 올려놓은 준석(樽石)과 같이 설치할 때도 있다. 준석의 크기 모양은 향로석과 같으나 이것은 따로 독립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4방에 개다리형을 새기는데 중간은 파내지 않는다. 개다리모양을 운족(雲足)이라고도 한다.

주위의 잡스러운 냄새를 제거하여 엄숙한 분위기의 성역을 이룬다는 의미로 향을 피운다.

비교대상

이완장군묘 향로석



이완장군묘는 시도유형문화재 1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상거리 19-1번지에 위치한다. 이완장군은 조선 효종 때의 무신으로 162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전공을 세운 인물이다. 묘역은 봉분을 중심으로 둘레에 돌담이 둘러져 있고 봉분 앞에는 제물을 차려놓고 제사를 드리기 위한 상석과 향로석, 묘역의 좌우에는 문인석, 망주석이 각각 1쌍씩 있다. 향로석은 상석의 정면 아래에 위치한다. 이완장군묘의 향로석은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그 위에 향로 모양을 새겨 놓았다. 향로다리에는 꽃으로 장식하고, 향로석은 구름 모양을 조각하여 화려한 모양을 갖추고 있다.



세중돌박물관 향로석



세중돌박물관은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 양지리 303-11번지에 위치한다. 이 박물관은 석조에 관한 것을 전시해 놓았다. 박물관 전시장의 앞 맨 줄에는 다양한 향로석이 전시되어 있다. 이 향로석은 사각형의 마름모꼴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향로를 조각하였다. 그런데 향로의 정면에 귀면을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좌우측면에는 태극문양을 조각하여 놓았다. 다른 조각은 간략화하고 귀면과 태극을 조각하여 더 강조하고 있다. 향로석의 다리 부분을 양각으로 둥글게 강조하고 있는 모습도 다른 조각과 잘 어울린다.



세중돌박물관 향로석



세중돌박물관은 경기도 용인시 양지면 양지리 303-11번지에 위치한다. 이 박물관은 석조에 관한 것을 전시해 놓았다. 박물관 전시장의 맨 앞줄에는 다양한 향로석이 전시되어 있다. 향로석은 향을 피우기 위한 제단이다. 이것은 제사 지낼 때 향로를 본떠 만드는데, 모양이 다양하다. 이 향로석은 육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항아리의 형상을 하고 있다. 위쪽에는 꽃을 조각하여 놓았고, 밑으로 연꽃과 구름으로 장식하고 있다. 하단 부분을 길게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