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목조건축물

제사시설
사주문
사주문(예천권씨 종가별당) 가상복원_0 돋보기
사주문

가묘 사주문

일반정보

조상과 후손을 이어주는 영혼의 문



가묘는 집안에 세워진 제사공간을 의미한다. 이 가묘를 집안의 생활공간과 분리시키기 위해 사주문을 설치하고 주변을 담장으로 두른다. 사주문은 평소에는 출입을 단속하고, 제사가 있을 때만 열어두어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출입 기능 외에 죽은 사람들 또한 드나들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사공간에서 문의 성격은 단순한 출입을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제사를 지내는 의식기능에 맞게 격식을 따르도록 유도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경내에 다시 신전으로 들어가는 문을 따로 설치하여 서열을 명확히 규정하며, 잡인을 금지하여 정결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유지하였다.



드나드는 방향을 결정하는 구조



가묘에 딸린 사주문은 집안의 조상을 모시고 있는 제사시설이다. 따라서 치장하거나 큰 규모 보다는 작고 소박하게 지어진다. 보통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를 가지고 있고, 맞배지붕으로 지어 소박함과 단아함을 지니게 한다. 그러나 4대가 지나도 제사를 올리는 불천위를 모시거나 특히 중요한 인물 사당 앞의 사주문은 삼문으로 건설하기도 한다. 마치 위대한 유학자를 모시는 향교나 서원의 사당 앞에 내삼문을 짓는 것과 같은 생각이다. 삼문은 반드시 동쪽 문으로 들어가고, 서쪽 문으로 나오는 ‘동입서출’ 원칙을 따라야 한다.

전문정보

죽은 자와 산자의 출입문, 사당 사주문(四柱門)



가묘(家廟)는 집안에 세워진 제사공간을 의미한다. 이 가묘를 집안의 생활공간과 분리시키기 위해 사주문을 설치하고 주변을 담장으로 두른다. 그리하여 가묘를 향해가는 과정적 공간과 사당 주위의 주요공간으로 나눠진다. 가묘건축에서 문은 주로 일각문(一角門)이 대부분이지만 삼문(三門)을 한 예도 보인다. 네 기둥을 갖고 있는 사주문의 형태를 채용한 경우도 진입공간과 사당공간의 구분을 명확히 하는 점에서 많이 채용되었다.

사주문은 평소에는 출입을 단속하고, 제사가 있을 때만 열어두어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출입 기능 외에 죽은 사람들 또한 드나들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사공간에서 문의 성격은 단순한 출입을 위한 기능이 아니라 석전제향(釋奠祭享)을 위한 의식기능에 맞게 격식을 따르는 문의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경내에 들어가서도 다시 신전으로 들어가는 문을 따로 설치하여 잡인의 출입을 금하며 정결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항상 유지하려고 하였다.

가묘에 딸린 사주문은 집안의 조상을 모시고 있는 제사시설이다. 따라서 치장하거나 큰 규모 보다는 작고 소박하게 지어진다. 보통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를 기지고 있고, 맞배지붕으로 지어 소박함과 단아함을 지니게 한다. 그러나 불천위(不遷位)를 모시거나 특히 중요한 인물을 모신 사당 앞의 사주문은 삼문(三門)으로 건설하기도 한다. 마치 향교나 서원 사당 앞의 내삼문과 같은 의미이며 그 기능 또한 같다. 특히 불천위가 있는 가묘의 문에는 태극문양(太極紋樣)의 단청(丹靑)을 하였다. 삼문의 경우는 반드시 동쪽 문으로 들어가고, 서쪽 문으로 나오는 ‘동입서출(東入西出)’을 원칙으로 한다.

비교대상

예천권씨종가별당 사당 사주문



예천권씨종가별당은 보물 45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 166번지에 위치한다. 사주문은 사당공간으로 출입하는 문으로써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둥은 네모기둥으로 이루어졌다. 사주문 좌우로 사당의 영역을 구획하는 막돌담장이 연결되어 있다. 정면기단은 3단의 계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2짝의 널문이 있는데 문짝 좌우의 여백은 판자널로 막아 영역의 구분을 꾀했다. 사주문의 가구는 삼량가로 구성되어 있다. 사당의 가운데 출입문에 수직으로 중간설주가 있다. 문을 열고 보면 그 단면이 T자형으로 문받이를 겸하고 있다.



광산김씨 사당 사주문



광산김씨재사 3동과 더불어 시도유형문화재 2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경북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산 28-1에 위치한다. 광산김씨 사당 중 오천리에 가장 처음으로 들어와 자리를 잡은 김효로와 증손자 김해를 모시고 있는 사당의 출입문이다. 안동댐 건설로 인하여 1975년 오천리 낙동강변에 있었던 것을 현 위치로 옮겼다. 사주문의 구조는 정면 1칸, 측면 1칸의 평면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또한 사주문 사방으로 흙담장이 둘러져 있다.

하회충효당 사당 사주문

하회충효당은 보물 141호로 지정되어 있고,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656번지에 위치한다. 이 사주문은 유성룡의 불천위를 모시고 있는 사당의 출입문이다. 사랑채를 지나 영모각 앞에 세워져 있다. 사주문 앞에는 넓은 잔디를 깔아 완충 공간을 만들었다. 이는 일반인의 출입을 금하는 공간상의 배려이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평면구조를 가지고 있고,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다른 가묘와 달리 향교나 서원에서 볼 수 있는 삼문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