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석조건축물

군사시설
성문
성문

성문

일반정보

출입과 방어 기능을 충족하는 장엄한 건축 공간



성곽이란 그 안에 사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서 세워진 건축물이다. 크게 평지성과 산성으로 나눠진다. 산성은 험난한 자연지형을 이용한 군사시설이고, 평지성은 주로 도성이나 읍성처럼 행정과 군사시설을 겸하고 있다. 이들 성에 설치된 성문은 성의 안팎을 드나드는 통로의 출입문이다. 일단 전쟁이나 변란이 일어날 때에는 적의 첫 번째 공격목표가 되므로 구조를 매우 견고하게 구성한다. 동시에 지휘소로서의 역할을 하므로 겉모습을 매우 장중하게 꾸며서 위엄을 갖추도록 하였다. 그래서 성문을 세울 때에는 시대마다 당시 가장 좋은 건축재료와 건축기술을 동원하여 최고의 건축 기량을 발휘하였다.



무지개문과 누각의 융합으로 탄생한 정문



성문은 돌로 쌓는 기단부와 목조건축의 형태를 띠는 문루 부분이 하나로 융합되어 있다. 기단부는 출입문이 설치되고 방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견고하고 육중하게 설치한다. 입구의 문은 개거식이나 평거식이 주로 쓰이고, 읍성의 입구는 아름다운 무지개문의 형태가 많았다. 무지개문은 반원형 무지개의 형태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았다. 산성의 문루는 단층의 팔작지붕 형태에 사방이 개방된 형태가 많았다. 도읍이나 읍성의 정문은 주로 남문이 담당하며 단층이 많지만 중요도에 따라 중층에 팔작지붕이나 우진각지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사방을 관찰할 수 있으면서 적의 공격을 막을 수 있는 형태에 주의하였다.

전문정보

성곽에서 가장 중요한 시설, 성문(城門)



성문은 성곽(城廓) 시설 가운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능상 성곽의 안팎을 연결하는 관문(關門)이 되며 전쟁이 벌어질 때에는 적의 주요 공격 목표물이 된다. 또한 성문은 성곽의 외관을 돋보이게 하는 장식의 주된 부분이기 때문에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성문은 석축(石築) 부분 위의 문루(門樓)를 비롯하여 옹성(甕城), 적대(敵臺), 여장(女墻) 등의 갖가지 방수(防守) 시설이 갖춰져 있다. 이러한 성문시설들이 갖춰질수록 공격자의 주목표가 되었고, 이를 방어하려는 수비자의 입장에서는 보다 튼튼하고 적을 압도할 수 있는 성문시설을 만들기 위해서 온갖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따라서 성문 시설들에는 당시 최고의 건축술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성문 가운데 가장 진보된 건축물이 바로 수원 화성(華城)의 장안문(長安門)과 팔달문(八達門)이라고 할 수 있다.

성문의 출입문은 겉모습이 홍예(虹霓, 무지개, 아치) 형태의 문이 많다. 기저부에서 수직으로 올려 쌓다가 정상을 향해 곡선으로 둥글게 쌓는 방법인데, 돌다리나 석빙고 기타 석물구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수법이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홍예 모양을 반원형(半圓形), 타원형(橢圓形), 포물선형(抛物線形), 마제형(馬蹄形, 말굽)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반원형 홍예문이 가장 널리 사용된 형식이다.

홍예식이나 장대석 평형식(사각형식) 출입문에는 모두 문짝을 달아 닫아 걸 수 있게 만든다. 보통 두 짝의 판문(板門)을 달아 여닫게 되어 있고, 안쪽에서 튼튼한 빗장을 만들어 문을 잠그게 하였다. 문짝은 두께가 l0센티미터 이상의 두꺼운 판재로 하고 외면에 화재나 충격에 견디기 위해서 두꺼운 철판을 마치 갑옷 모양으로 붙인 것도 있다.

홍예문 위에는 문루를 세우는 것이 일반적인 형식이다. 문루를 세우면 성곽의 위엄과 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사시에는 이 문루를 전술 지휘소로 사용할 수 있다. 문루는 단층(單層)과 중층(重層) 형식이 있는데, 성문의 중요도에 따라 결정되었다. 문루의 기둥이 세워진 칸수구성(間數構成)을 보면 정면은 3칸과 5칸이 가장 많고 측면은 1칸에서 4칸까지 있다. 지붕은 대부분 팔작지붕이고 우진각지붕 형태도 보인다.

비교대상

해미읍성 진남문



해미읍성은 사적 11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충남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16번지에 위치한다. 동문과 서문과 더불어 진남문이 읍성 내부로 통하는 남문으로 남아 있고, 읍성 내에는 관아시설이 남아 있다. 진남문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2층의 누각 건물이다. 홍예를 외부에 세워 문으로 삼고 있으며, 그 위로 팔작지붕 누각이 있다. 문으로 사용한 홍예의 폭은 3.6미터이고 높이는 3.4미터이다. 내부에는 평거식으로 4.1미터의 폭으로 문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해미읍성 자체가 낮은 평야 지역에 자리하고 있어 진남루가 그리 높지 않지만 이 곳에 올라서면 주변의 모습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고창읍성 공북루



고창읍성은 사적 14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126번지에 위치한다. 고창읍성은 모양성이라고도 하는데, 숙종 연간에 완성되었다고 전한다. 공북루는 고창읍성의 북문으로 내부로 통하는 입구에 세워진 누문이다. 공북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단에는 성으로 들어가는 것을 통제하기 위한 문이 설치되어 있고, 위의 누에서는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후면 외진주의 초석은 높게 조성하고 나머지 초석들은 낮은 것을 사용하였다. 공북루로 오르기 위해서는 후면의 계단을 통해 올라설 수 있다.

상당산성 공남문

상당산성은 사적 21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충북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 산 28-1번지에 위치한다. 원래 상당산성은 토성이었으나, 조선 숙종 때 돌로 다시 쌓은 것이다. 공남문은 상당산성 정문으로 문은 돌로 쌓고, 위쪽에 누를 설치하였다. 성문 바깥쪽에는 옹성의 성태를 취하지 않고 바로 문으로 통하는데, 방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성문 가까이 치를 마련하였다. 공남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이지만, 1칸의 넓이가 넓다. 팔작지붕 구조를 가지고, 다포형식으로 집을 지었다. 후면 계단을 통해 오르면 다시 양쪽에 협문을 통해 안으로 들어설 수 있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