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목조구조물

경계시설
장승 천하대장군
온양민속박물관 천하대장군 가상복원_0 돋보기
장승 천하대장군

장승 천하대장군

일반정보

천하를 지키는 수호신



목장승 천하대장군은 나무로 만든 남자 장승을 말한다. 장승이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는데, 선인의 얼굴을 새긴 원시 공동체의 신앙 대상물로서 오늘날까지 전승돼 온 마을 수호, 방위 수호 기능의 법수, 벅수(경기 등 일부 지역에서는 장신, 수살 등이라고도 함) 등이 우리가 알고 있는 대표적인 장승이다. 마을에서는 마을 공동 대책의 일환으로 적은 돈이나 곡식을 모아 역병이 찾아오는 길목인 마을 입구나 고갯마루에 선인의 염원을 담은 법수를 세워 마을 침입을 막으려 하였다.



얼굴과 수염이 뚜렷한 남자 장승



목장승의 구분은 크게 머리와 얼굴 수염과 기문을 쓰는 몸체로 나눌 수 있다. 천하대장군의 경우는 머리에 관모를 쓰거나 상투를 튼 머리가 기본적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나무뿌리 부분을 잘 다듬어 머리를 그대로 표현한 경우도 있다. 얼굴은 잡귀를 물리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무섭게 표현하고 있다. 목장승은 석장승과 달리 채색을 하는 경우도 있다. 채색을 할 때는 남상의 얼굴에 붉은 색, 몸에는 검은 색을 황토와 흙으로 칠하고 관모에도 검은 색의 선을 칠한다. 또한 남상의 수염을 사람의 털이나 동물의 털을 엮어 만들어 붙이는 경우도 있고, 붉은색으로 염색하여 붉은 수염을 다는 경우도 있다.

전문정보

경계와 벽사 기능의 목장승



목장승(木長栍)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은 나무로 만든 남자 장승을 말한다. 장승이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는데, 선인(先人)의 얼굴을 새긴 원시 공동체의 신앙 대상물로서 오늘날까지 전승돼 온 마을 수호, 방위 수호 기능의 법수(法首, 벅수. 경기 등 일부 지역에서는 장신, 수살 등이라고도 함) 등이 우리가 알고 있는 대표적인 장승이다. 그러나 다른 의미의 장승도 있는데, 장승이라는 명칭이 시작된 신라, 고려시대 사찰의 산천 비보 장생표가 포함되어 있고, 읍락의 비보 성문 수호나 사원의 호법, 또는 노표, 경계표, 금표로서의 장승을 이용하였다. 이처럼 장승은 시대와 기능, 지역에 따라 또는 사람의 계급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이 사용되었다. 이름과 기능이 제각기 다양하면서도 어떠한 기능의 것이 어떠한 이름으로 불린다는 일정한 공식이 있지는 않았다. 사람들은 장승이 흉년, 재앙, 유행병 등을 가져오는 귀신이나 역신을 겁주어 쫓아 보낸다고 믿었다. 의학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때, 천연두, 괴질, 수두와 같은 사망률이 높은 유행병이 퍼지면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자신과 가족의 목숨을 운명에 맡겨야 했다. 의원의 치료는 받아도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고, 값비싼 치료비를 댈 수 있는 사람 또한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병의 치료를 의술로 해결할 수 없기에 신력으로 기대할 수밖에 없었다. 부락에서는 중국의 강남에서 오는 역신인 호귀마마가 우리나라의 방방곡곡을 다니며 병을 퍼뜨린다고 믿었다. 따라서 부락에서는 부락 공동 대책의 일환으로 적은 돈이나 곡식을 모아 역병이 찾아오는 길목인 마을 입구나 고갯마루에 선인의 주력을 겸비한 법수를 세월 마을 침입을 막으려 하였다.

목장승의 구분은 크게 머리와 얼굴 수염과 기문을 쓰는 몸체로 나눌 수 있다. 목장승은 비교적 나무라는 재질 때문에 조각의 기법과 종류가 다양한 편이다. 그러나 장승이 갖추고 있는 기본적인 것, 즉 머리모양과 얼굴의 생김새, 수염은 모양은 다르지만 필수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천하대장군의 경우는 머리에 관모를 쓰거나 상투를 튼 머리를 기본적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나무뿌리 부분을 잘 다듬어 머리에 그대로 표현한 경우도 있다. 얼굴은 경계의 표시기 때문에 잡귀를 물리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무섭게 표현하고 있다. 목장승은 석장승과 달리 채색을 하는 경우도 있다. 채색을 할 때는 남상의 얼굴에 붉은 색, 몸에는 검은 색을 황토와 흙으로 칠하고 관모에도 검은 색의 선을 칠한다. 또한 남상의 수염을 사람의 털이나 동물의 털을 엮어 만들어 붙이는 경우도 있고, 이것을 붉은색으로 염색하여 붉은 수염을 다는 경우도 있다.

비교대상

온양민속박물관 천하대장군



온양민속박물관은 충남 아산시 권곡동 403-1번지에 위치한다. 온양민속박물관 야외 전시실에 있는 두 기의 목장승 중 남성 장승인 천하대장군이다. 천하대장군 첫 번째 특징은 나무의 뿌리 부분을 머리로 삼은 봉두난발형 장승으로 지하여장군과 나란히 서 있다. 나무의 생김 그대로를 나무의 겉면만 다듬어 세워 나무의 울퉁불퉁한 것이 살아 있다. 눈은 봉눈으로 두 눈을 치켜 올려 무섭게 표현하였다. 코는 주름잡힌 둥근 형태를 지니고, 코 밑에 두 갈래의 콧수염이 있다. 둥근 입 밑으로 세 갈래의 턱수염이 있다. 몸에는 천하대장군이란 기문이 새겨져 있다.



온양민속박물관 천하대장군



온양민속박물관은 충남 아산시 권곡동 403-1번지에 위치한다. 온양민속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솟대와 같이 세워져 있다. 이 장승은 봉두난발형 장승으로 지하여장군의 왼편에 서 있다. 머리를 풀어헤친 듯 산발을 하고 있으며, 이마에는 깊이 팬 주름이 있다. 눈은 퉁방울눈으로 둥글게 깊이 양각하였다. 코는 주름이 세 개 잡힌 주먹코이다. 입에는 만연한 미소를 지니고 있으면서, 입가에는 송곳니가 익살스럽게 나있다. 입 밑으로는 땋은 수염이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몸에는 천하대장군이란 기문이 새겨져 있다. 전체적으로 따뜻하고 익살스러운 표정이 잘 살아 있다.



낙안읍성 동문지 천하대장군



낙안읍성은 사적 30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남 순천시 낙안면 동내리에 위치한다. 이 장승은 동문 바깥에 장승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 중 하나이다. 이 장승은 현재의 장승으로 기본구조는 봉두난발형 장승이다. 눈은 퉁방울눈이며, 눈썹과 눈은 검은색과 흰색으로 채색되어 있다. 코는 주먹코이다. 입 주위에는 검은 수염을 간략하게 표현해 놓았다. 입술은 붉게 칠해져 있으며, 입안의 이는 아래만 표현하고 흰색으로 채색되어 있다. 몸에는 새천년대장군이란 기문을 새겨 놓아 현재의 기원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