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생활공간

반가구역
정자 별서형
정자 별서형

정자 별서형

일반정보

자연을 향해 열려 있는 정자 건축



흔히 누각이라 혼용하는 정자 건축은 누와 각의 두 형태를 함께 이르는 말이다. 먼저 ‘누’는 2층 이상으로 높다랗게 지은 다락식의 큰집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려한 자연경관이나 인공경관을 이루고 있는 곳에 높이 자리잡고 있어 주변경관을 감상하면서 쉬는 건물이다. 다음으로 ‘각’은 날렵한 지붕 형태에 바닥을 높게 만든 누보다 작은 건물이다. 당은 한자 자형이 흙을 높이 돋우고 그 위에 높이 지은 집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누, 정, 각, 당 등을 구분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자의 공통점은 마루가 중심고, 사방이 두루 보이도록 탁 트여 있으며 아름다운 경관을 조망하는 높은 곳에 건립된 것이 특색이다.



흙과 물과 바람을 받아들이는 호남의 정자



우리나라의 누정은 영남지역과 호남지역에 가장 많이 지어졌는데 그 특징이 뚜렷이 구분된다. 자연을 감상하는 정자 고유의 특징을 잘 반영한 호남지역의 정자들은 영남지역과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호남의 정자들은 마루가 중심이 되고, 온돌방은 거의 없거나 있더라도 주거용으로는 부적합한 협소한 단칸방이 설치되어 있다. 영남이 성리학을 중심으로 학문 교류를 중시하는데 반해, 호남이 가사문학 등 시가를 즐기는 다른 정서를 보여준다. 호남의 정자는 <<택리지>>에서 말하듯 “사대부가 없는 곳”, 즉 산수자연 속에서 사람들과의 교제를 차단한 채 홀로 스스로의 여유를 즐기기에 가장 적합하게 지어졌다.

전문정보

자연을 감상하며 여유를 즐기는 호남(湖南)의 정자(亭子)



우리나라에서 경치가 좋은 곳이라면 거의 대부분 누각(樓閣)이나 정자(亭子)가 서 있다. 전통적으로 누정(樓亭)이라 말하는데 누각과 정자의 합성어이다. 정자를 앞세워 정루(亭樓)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누정은 정자의 이름표인 정호(亭號)에 누(樓)나 정(亭)자가 붙은 건물이며 주로 마루로 되어 있는 건물을 가리킨다. 그러나 정호에 당(堂)이나 각(閣), 대(臺), 정사(精舍), 재(齋) 등의 이름을 붙인 건물이라 해도 마루가 주가 되어 사방으로 트인 건물은 누정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각각의 명칭과 건축적 특징을 여러 종류로 나눠볼 수 있다.

흔히 누각이라고 혼용하는 누와 각의 성격을 자세히 살펴보자.

먼저 누(樓)는 보통 중층(重層)의 집 모양을 이룬 것으로,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벽이나 문을 두지 않고 높이 지은 다락식의 큰집이다. 일반 건물에서 단층에 인공적인 바닥으로 마루나 온돌바닥이 형성된 것과는 달리 일층바닥을 자연 상태나 기단으로 남겨두고 그 상층에 마루바닥이나 온돌바닥을 형성한 건물을 말한다. 이렇듯 높다랗게 지은 큰집을 각(閣)이라 하여 누를 또 누각이라 하고, 누관(樓觀)이라고도 한다. 큰 건물을 가리키는 명칭에 누나 각이 접미사로 붙어 있으면 모두 이 누각을 가리킨다. 이러한 누각의 대표적인 것으로 진주의 촉석루, 밀양의 영남루는 물론 부여의 대재각 등이 이름 있는 누각이다.

그런데 누각의 명칭을 종합해보면 대부분이 ‘-각’이라기보다 ‘-루’라고 한 경우가 많다. 누각은 대개 자연 속 높은 언덕이나, 돌이나 흙을 쌓아올린 대(臺) 위에 세운 것이기 때문에 달리 대각(臺閣)이나 누대(樓臺)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강릉의 경포대, 창평의 청심대는 그곳의 대 자체만을 뜻한 것이 아니라 거기에 건립된 누정까지 가리킨다. <<동국여지승람>>에 대를 접미사로 한 누정 이름이 적지 않은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누는 일반적으로 수려한 자연경관이나 인공경관을 이루고 있는 곳에 이어 누마루에 올라 주변경관을 감상하면서 쉬는 건물이다. 그러나 도성, 읍성, 궁성의 성문이나 사찰건축의 문루, 향교와 서원의 누문은 모두 공통된 성격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각(閣)은 누와 비슷하여 혼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누각이라는 용어가 나오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가 장중한 맛을 갖고 있다면 각은 날렵한 모습을 보여준다. <<원치>>에서는 “각이라고 하는 것은 사방에 지붕의 비탈면이 있고, 사방에 창문을 낸 것을 가리킨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사방에 지붕의 비탈면이 있다고 하는 것은 우진각 지붕이나 사모정의 지붕모양을 말하는 것인데 집의 모양으로 볼 때에 사모정처럼 날렵하면서 누처럼 바닥이 높게 자리 잡고 있음을 말한다고 하겠다. 그러나 누나 정의 경우처럼 혼용될 때가 많으니, 담양 소쇄원의 광풍각(光風閣)은 당의 형식이지만 각으로 편액을 달고 있다.

그렇다면 당(堂)은 어떤 형태인가? 당은 한자 자형(字型)이 흙을 높이 돋우고 그 위에 지은 집을 상형하고 있다. 대개 기단 위에 짓거나 층고(層高)나 지붕을 높이거나 하여 입면(立面)상으로 높은 형태를 취하는 건물이다.

<<원치>>에는 “옛날의 당은 전반부가 텅 비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당이란 당(當)이다.”라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중앙에 위치하여 남향을 한 가옥을 말하는 것으로 본래 당당하게 높이 드러난 집채를 말한다. 당은 남향(南向)을 주로 하고, 정원의 경관을 잘 바라볼 수 있는 곳에 지어야 한다. 또 정원에서 벌리는 연회(宴會), 시회(詩會) 등을 개최하는 장소로도 쓰인다. 당호(堂號)가 그 집 전체를 일컫는다. 정원에서도 당은 짓는데 소쇄원의 제월당(霽月堂)은 정면 3칸, 측면 1칸 중 1칸은 온돌방으로 3칸은 대청으로 일반 저택의 집채와 같은 모양이다.

이상에서 우리나라는 건축적인 특징에 따라 엄격하게 누, 정, 각, 당 등을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누정으로 묶어서 표현한다. 남성중심의 유람이나 휴식공간이나 교육공간을 위해서 세운 특별히 세운 건물이다. 원래 방이 없이 마루만 있고, 사방이 두루 보이도록 막힘이 없이 탁 트이게 되어 있으며 아름다운 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높은 곳에 건립된 것이 특색이다.

우리나라의 누정은 경상도의 영남지역과 전라도의 호남지역에 가장 많이 지어졌는데 그 특징이 뚜렷이 구분된다.

자연을 감상하는 정자 고유의 특징을 잘 반영한 호남지역의 정자들은 영남지역과 대별되는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호남의 정자들은 마루가 중심이 되고 있다. 온돌방은 거의 없거나 있더라도 주거용으로는 부적합한 협소한 단칸방이 설치되어 있다. 정통 성리학을 배경으로 철학적인 세계를 중심하는 영남과 달리, 사장학(詞章學)을 존중하는 성향과 가사문학(歌辭文學)과 시조(時調)를 중시하는 정서는 자연 속에 세운 정자 건축에도 매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났다.

영남의 정자는 학파에 소속된 학자들과 후학들이 함께 모여 학문을 논하는 장소이다. 그런데 호남의 정자는 이중환(李重煥)의 <<택리지(擇里志)>>에서 말하듯 “사대부가 없는 곳”, 즉 산수자연 속에서 사람들과의 교제를 차단한 채 홀로 스스로의 여유를 즐기기에 가장 적합하게 지어졌다.

비교대상

광풍각



광풍각은 사적 30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 123번지에 위치한다. 조광조의 제자인 양산보가 지은 정자로 호남 사림들이 모여 학문을 논하고, 당대 현실을 문학으로 승화시킨 곳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팔작지붕 건물이다. 계곡가의 높은 석축을 쌓고 중간 단을 돌출시켜 그 위에 광풍각을 얹었다. 중앙 1칸은 온돌방으로 뒷면에는 90센티미터의 함실 아궁이가 있다. 나머지 칸에는 마루 칸을 두었는데 문은 분합문으로 되어 있다. 여름철 이 분합문을 들쇠에 걸어 올려놓으면 3방향으로 열린 공간이 된다.



삼귀정



삼귀정은 시도유형문화재 21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안동시 풍산읍 소산 1리 76번지에 위치한다. 이 정자는 김영수가 88세의 늙은 어머니를 즐겁게 해드리고자, 1496년에 지은 정자이다. 여러 차례 보수과정을 거치다, 1947년에 개축하였다. 삼귀정이라는 이름은 정자 옆으로 3개의 고인돌이 거북이 형상으로 엎드려 있어 붙여진 것인데, 어머니의 장수를 기리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삼귀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되어있다. 사방이 담장으로 둘러져 있으며, 협문을 통해 정자 안으로 들어설 수 있다. 높은 기단 위에 조성되어 있어 정자 안으로 올라서면 주변의 경관이 한눈에 들어온다.



용암정



용암정은 시도유형문화재 4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안동시 도산변 서부리 산 16-1번지에 위치한다. 예안면 선양동 낙동강가 암석 위에 있었던 것을 안동댐 건설로 인해 지금의 위치로 옮겨진 것이다. 용암정은 처음 1913년에 짓고 영락정이라 한 것을 1940년 신응인이 인수하면서 용암정으로 이름을 개칭하였다. 높은 막돌 기단 위에 조성되어 있는 용암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이며, 팔작지붕집이다. 정면과 우측면은 개방되어 있고, 좌측 1칸은 판문을 달아 폐쇄적으로 만들었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기둥과 천정에 단청을 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