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생활공간

민가구역
초가삼간
초가삼간집(하회 김계운 가옥) 가상복원_0 돋보기
초가삼간

민가 초가삼간

일반정보

초가 위주의 서민의 집, 민가



민가는 궁궐, 관아, 사찰 등의 공적인 건축공간과 대비되는 사적인 건축공간으로 위로는 공경대부로부터 아래로는 천민에 이르기까지 ‘모든 백성들의 집’을 말한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는 공경대부 등 양반계층의 집을 제외한 일반 서민들의 집을 일컫는 말이다. 기와집 중심의 양반들의 집과 달리 민가는 대부분 초가이다. 초가는 흙과 돌을 이용해 사방을 토담으로 둘러쌓은 토담집과, 측면과 뒷면을 흙담으로 쌓아 전퇴를 내고 통나무 또는 대패질을 한 사각기둥을 세워 서까래를 걸치고 산자를 엮어 알매를 얹은 후, 볏짚이나 억새풀, 띠풀, 갈대 등으로 지붕을 덮은 집들을 통틀어서 일컫는 이름이다.



전통 초가의 기본구조, 삼간집



민가는 평면형태에 따라 다양한 유형을 띠는데, 그 중에서 한반도에서 가장 광범하게 분포하는 유형은 부엌+방+방으로 된 이른바 ‘오막살이형’ 삼간집이다. 이것은 아궁이가 있는 부엌과 온돌방만으로 구성되어 최소한의 기본 살림살이를 바탕으로 하여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흔히 ‘초가삼간’으로 불리기도 하는 이러한 유형의 집은 한국에서 가장 보편적인 것이며, 조합과 확장을 통해 다른 유형의 집들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전통 초가의 기본구조이기도 하다. 여름철에는 마당에 놓은 들마루를 이용한다든가 아니면 마당에다가 멍석을 깔고 나가 앉기도 한다.

전문정보

초가(草家)의 역사와 평면형태



초가는 원시시대 움집을 거쳐 신석기시시대에 이르러 지상주거 공간이 만들어지면서부터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볏짚이 아닌 억새풀이나 갈대 등 자연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것들을 이용해 이엉을 엮지 않고 지붕 위에 두텁게 깔아 나뭇가지 등으로 눌러 놓거나 칡넝쿨로 동여매어 바람에 날아가지 않게 하였을 것이다. 철기시대에 접어들어 벼 농사가 시작되면서 농사의 부산물인 볏짚을 이용하여 지붕을 이기 시작했을 것이다.

현재의 초가들은 삼국시대 이후 주거건축이 발달되면서부터 일반 서민과 가난한 농민들의 가옥으로서 토담으로 된 오두막집과 앞퇴가 있는 목조 초가가 대중적으로 지어지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 특정한 건물과 지체가 높거나 살림이 넉넉한 중인들을 제외하고는 대다수 백성들이 초가를 지어 살았다. 이는 초가가 기와집에 비해 구조가 간편하고 경제적 부담이 없으며 집짓기가 간편하고, 농사의 부산물인 볏짚을 이용하여 지붕을 쉽게 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초가의 지붕에 사용되는 볏짚은 속에 공간이 있어 그 안에 공기가 여름철에 뜨거운 햇볕을 막아주며, 겨울에는 집안의 온기가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방열 역할도 한다.

초가는 집짓기에 따라 크게 담집과 목조집으로 나뉜다. 담집은 전면을 제외한 삼면을 돌과 흙을 이용해 차곡차곡 쌓아 올린 후 지붕의 하중을 담에 의존해 지은 집으로서, 산간지대의 아주 가난한 사람들이 자신의 노동력만으로 지을 수 있는 집이다. 담집에는 짚을 잘게 썰어 진흙으로 반죽한 흙덩이와 호박돌을 한결같이 쌓아올려 지은 토담집과 돌이 귀한 지역에서 순전히 흙으로 쌓아올려 지은 둑집, 바람이 세고 돌이 많이 나는 곳에서 돌로만 벽체를 쌓은 다음 내벽을 흙으로 막아 지은 돌담집 등이 있다. 이러한 담집들은 구조적으로 담을 높이 쌓을 수 없으므로 집 높이가 보편적으로 낮은 반면, 단열이 잘 되므로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것이 특징이다. 초가 중에서도 토담집은 한결같이 지붕이 두터운 삼간집이 대부분이다. 이는 곧 여름보다 겨울나기를 위해 집이 마련되었다는 사실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구조가 목조집이다. 목조집은 기둥을 사면에 세우고 보와 도리를 걸친 다음 지붕의 하중을 이곳에 의존하도록 지은 집이다. 목재는 긴 부재를 얻기 쉽고 가공이 용이하며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동서양을 막론하고 원시시대부터 건축의 주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산지가 전국토의 70% 정도를 차지하는 우리나라에서는 목재가 일찍부터 민가를 짓는 데 사용되어 왔다.

초가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평면형태를 띤다. 경남지방과 경북, 전남 일부 등의 남부지방의 초가는 一자형의 평면형태에 3칸 또는 4칸의 전퇴집이 가장 많다. 이러한 집의 주거공간은 큰방, 작은 방, 부엌으로 나뉘며, 부엌은 주로 왼쪽(즉, 남향집에서는 서쪽, 동향집에서는 남쪽 방향)에 있고 큰 방과 작은 방 앞에는 툇마루를 두었다. 사간집의 경우는 대청을 남쪽방향으로 두어 햇볕을 이용해 따뜻한 방의 역할을 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전라남북도와 충청도 일부가 속하는 서부지방의 초가는 남부지방의 一자형 삼간집과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서부 해안 집안의 초가는 사간 또는 오간집이 많다. 사간집의 평면은 집중앙에 주로 마루방을 두고 양쪽에는 건넌방과 큰방을 두는 형식이다.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충청도 일부가 속하는 중부지방의 초가는 주로 ㄱ자형과 口자형의 구조가 많다. 일부 지역에는 一자형도 분포하며, 강원 산간 지방에서는 田자형 구조도 가끔 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평면형태는 기후적으로 북부와 남부의 중간지역에 해당됨으로써, 양 지역의 평면형태가 절충된 결과이다.

북부지방의 초가형태는 일반적으로 田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방들은 방과 방을 직접 연결해 통하도록 하여 복도나 마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방과 부엌 사이에 있는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주방작업이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장소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공간으로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사랑방에 쌍문을 단 경우가 드물게 있는데, 이 경우는 집의 기단부도 제법 높고 칸수도 4칸을 넘는다. 초가라도 4칸을 넘기는 집은 마루를 1칸 잡아 두었다. 마루가 있는 경우 부엌은 집의 왼쪽 끝에 자리 잡고, 마루는 안방과 사랑방 사이에 자리 잡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초가임에도 불구하고 집이 기와집 못지않게 높고 본채 외에 아랫채를 둔 경우도 없지 않다. 이런 집은 지붕만 초가일 뿐 형식은 기와집과 견줄 만하다. 칸수도 5칸 이상이 되며 툇마루는 물론 대청까지 집 중앙에 배치하고 있다.

비교대상

하회 김계운가옥



하회 김계운가옥은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하회마을 내에 위치한다. 이 가옥은 부엌, 안방, 건넌방으로 구성된 초가이다. 이 집의 구성상 특이한 점은 안방이 반칸 들어가 있고, 그 공간에 툇마루를 설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부엌의 문이 정면에 있는 것이 아니라, 툇마루를 보고 측면에 설치하고 있어 특이하게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인 3칸의 구조인 부엌과 온돌로 구성되어 있다. 건넌방은 난방을 위해 정면에 아궁이가 설치되어 있다.



양동마을 초가삼간



양동마을은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위치한다. 전통한옥이 많이 남아 있는 전통마을로 꼽힌다. 이 가옥은 양동마을에 있는 초가삼간형으로 가장 평범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가옥이다. 1단의 막돌을 쌓은 기단 위에 부엌, 안방, 건넌방이 차례로 구성되어 있다. 부엌은 외여닫이 판문이 달려 있고, 옆으로는 살창이 나 있어 환기를 고려한 형태라 할 수 있다. 안방과 건넌방 앞에는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어, 외부 공간을 넓히고 있다. 또한 칸의 넓이가 작은 편이라 온돌방에 달린 문은 외여닫이 띠살문이 달려 있다.



양동마을 초가삼간



양동마을은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위치하며, 안동의 하회전통마을과 대조를 이룬 전통마을이다. 대로 주변에는 초가들이 즐비하게 늘어져 있는데 그 중 한 가옥이다. 이 가옥은 초가삼간을 변형하여 가게로 이용하고 있다. 1단의 막돌로 쌓은 기단 위에 부엌, 안방, 건넌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엌을 개조하여 가게로 이용하고 있다. 안방은 부엌과 연결된 문이 있으며, 외부에서 드나들 수 있도록 정면에 쌍여닫이 띠살문이 안방과 건넌방에 설치되어 있고, 앞에는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어, 외부와 연결이 자연스럽게 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