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교육공간

서원구역
주사
주사

서원 주사

일반정보

서원의 일상 생활을 지원하는 건물



서원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주사가 있다. 주사는 곳에 따라 고직사, 교직사, 관리사, 주사라고 부른다. 주사는 서원의 기능을 수행하는 원지기의 주거기능, 재생들의 식사와 제사 때 음식을 준비하는 기능, 식량, 용품 등을 보관하는 창고 기능 등을 갖는다. 주사의 여러 기능 때문에 방과 대청, 부엌 등으로 평면이 구성되는 것은 일반 살림집과 같으나, 안마당이 부엌 공간이 연장된 작업공간으로 되어 있고 사랑채가 없다. 원생들의 식사 준비도 이곳에서 이루어지는데, 식사 시간에는 교육공간과 고직사 사이의 협문을 통해 음식이 운반된다.



교육공간 좌우에 자리잡은 부속기관



일반적으로 주사는 교육공간 밖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한다. 경상도는 주로 강학공간의 좌우측에 배치하는데, 안동의 경우 거의 모든 서원의 고직사가 우측에 배치되는 특징을 보인다. 고직사의 평면 유형은 口자형이나 ㄷ자형이 많다. 그러나 말기로 갈수록 특별한 형식 없이 다양한 평면 유형을 보여준다. 평면구성에 있어서 一자형의 경우, 방-마루-방-정지의 남부지방형과 방-방-방-정지(툇마루)형의 두 가지가 주로 나타난다. ㄱ자형과 ㄷ자형은 一자형에 고방채나 문간채 등이 추가되어 그 규모가 커진 형태이다. 口자형은 안동지방에서만 나타는 형태로 규모와 외형이 상류주택과 비교될 정도이다.

전문정보

서원을 관리하는 건물, 주사(廚舍)



서원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주사가 있다. 주사는 곳에 따라 고직사(庫直舍), 교직사(校直舍), 관리사(管理舍), 주사라고 부른다. 서원의 관리자는 원지기, 교지기, 재지기라고 한다. 그 중 교지기는 향교의 관리사에서 비롯되었다.

주사는 서원의 기능을 수행하는 원지기의 주거기능, 재생들의 식사와 제사 때 음식을 준비하는 기능, 식량, 용품 등을 보관하는 창고 기능 등을 갖는다. 주사의 여러 기능 때문에 방과 대청, 부엌 등으로 평면이 구성되는 것은 일반 살림집과 같으나, 안마당이 부엌 공간이 연장된 작업공간으로 되어 있고 사랑채가 없다. 원생들의 식사 준비도 이곳에서 이루어지는데, 식사 시간에는 교육공간과 고직사 사이의 협문을 통해 음식이 운반되며, 원장 등은 강당의 원장실 등에서 각상을 받고, 원생은 동재와 서재에서 겸상을 한다.

주사는 시대별, 지역별로 서원의 기능이 변화함에 따라 건축 내용에 변화가 있었다. 소수서원의 경우 초기에는 서원 뒤쪽에 배치되는 등 제자리를 찾지 못하다가 조선 중기 이후에 일반적으로 주사는 강학공간 밖 좌측 혹은 우측에 위치했다. 경상도는 주로 강학공간의 좌우측에 배치하는데, 안동군의 경우 거의 모든 서원의 고직사가 우측에 배치되는 특징을 보인다.

고직사의 평면 유형은 口, 또는 ㄷ자형이 많다. 그러나 말기로 갈수록 특별한 형식없이 다양한 평면 유형을 보여준다. 그러나 전라도 지방은 −자형, 충청도 지방은 ㄱ자형, 경상도 지방은 ㄷ, 口자 형이 주로 나타난다.

평면구성에 있어서 一자형의 경우, 방-마루-방-정지의 남부지방형과 방-방-방-정지(툇마루)형의 두 가지가 주로 나타난다. ㄱ자형과 ㄷ자형은 一자형에 고방채나 문간채 등이 추가되어 그 규모가 커진 형태이다. 口자형은 안동지방에서만 나타는 형태로 규모와 외형이 상류주택과 비교될 정도이다.

비교대상

도산서원 고직사



도산서원은 사적 17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번지에 위치한다. 도산서원의 고직사는 상하로 2동이 있다. 이는 원래 도산서당에 세운 하고직사와 도산서원이 생겨난 이후 상고직사를 지었기 때문이다. 이 두 고직사는 형태가 서로 틀리다. 하고직사는 도산서당 서쪽 옆에 위치하고 있다. 전체 구조는 ㄷ자형이다. 생활 할 수 있는 공간인 온돌을 두고, 가운데 두 칸은 대청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엌일을 할 수 있도록 각각 왼편의 건물과 오른편의 건물에 부엌을 설치하고 있다. 상고직사는 사당을 지키는 묘우가 거처하던 곳으로 안동지방의 일반 민가 주택 형식을 따라 口자 형이다.



소수서원 주사



소수서원은 사적 5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51번지에 위치한다. 소수서원의 주사는 서원의 담장 밖 오른쪽 공간에 위치한다. 정면 4칸, 측면 2칸의 규모에 팔작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운데 2칸은 대청으로 되어 있고, 양쪽 끝은 온돌방으로 되어 있는데, 온돌방 측면에는 창이 설치되어 있다. 기단은 막돌로 쌓아 올렸으며 2개의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소수서원의 주사는 일반 가옥의 사랑채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역동서원 주사



역동서원은 경북 안동시 송천동 388번지 안동대학교 내에 위치한다. 역동서원의 주사는 서원 공간이 아닌 별도로 서원의 왼쪽에 자리 잡고 있다. 주사는 서원을 지원해주는 보조적 건축으로 서원의 공간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된다. 역동서원의 주사는 서원의 왼쪽의 협문과 정면의 대문으로 들어 설 수 있다. 정면 4칸, 측면 1칸의 규모에 우진각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사의 4칸은 모두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왼쪽 1칸은 부엌으로 되어 있다. 측면에는 각각 온돌방과 통하는 문이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