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교육공간

서원구역
강당
강당

서원 강당

일반정보

중심에 우뚝 선 교육의 장



서원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 강당은 유생들이 공부하는 곳으로 향교의 명륜당과 같은 곳이다. 강당은 일반적으로 학생인 원생과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 서원의 책임자인 원장이 학문을 토론하는 곳이다. 제사 때에는 서원 관련 유림들의 회의 장소가 된다. 또한 강당은 그 지역에서 비교적 큰 규모의 건물이기 때문에 유림들의 집합장소 역할을 담당하였다. 강당의 현판에 적혀 있는 이름은 대부분 학문을 닦거나 마음을 기르는 등의 서원의 강령을 압축해 놓은 것으로 강당의 정면 가운데에 걸어 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강당에는 현판과 더불어 여러 형태의 시나 기록들을 적은 기문들이 걸려 있다.



대청마루와 온돌방으로 이루어진 학문의 전당



서원 교육공간의 중심은 강당이다. 강당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가 놓여 있어 머물고 배우고 토론하는 교육공간을 완성한다. 강당은 원칙적으로 5칸 규모의 건물이어야 하지만, 서원에 따라 그 크기가 더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평면 구성은 중앙에 대청을 두고, 그 양측에 작은 온돌방을 설치하는 형식이 가장 많다. 또한 강당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기단을 높이 쌓고,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하고, 비교적 기둥을 크게 하여 웅장하게 만든다.

전문정보

서원 교육공간의 중심, 강당(講堂)



서원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는 강당(講堂)은 유생들이 공부하는 곳으로 향교의 명륜당과 같은 곳이다. 강당은 일반적으로 학생인 원생(院生)과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敎授), 서원의 책임자인 원장(院長)이 학문을 토론하는 곳이다. 그러나 강회(講會)가 있을 때는 학생들이 강당에 오를 수 있지만, 평상시에는 학생 접근이 제한되어 교수진 전용의 건물이다. 폐쇄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강당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유회나 제사 때는 서원 관련 유림(儒林)들의 회의 장소가 된다. 또한 강당은 그 지역에서 비교적 큰 규모의 건물이기 때문에 유림들의 집합장소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 이유는 중심지역에서 적당히 떨어져 있어 은밀한 회의를 하기 적당하고, 넓은 대청(大廳)마루는 훌륭한 회의 장소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강당이 교육과 향촌사회의 공동 공간의 기능을 함께 하였음을 보여준다.

강당의 현판에 적혀 있는 이름은 일반적으로 OO당(堂), 좌우 온돌에는 OO재(齋)라는 식으로 붙는다. 대부분 학문을 닦거나 마음을 기르는 등의 내용이 담긴 성리학 개념어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 예로 시습당(時習堂), 진수재(進修齋), 성경재(誠敬齋), 전교당(典敎堂), 구인당(求仁堂), 명성당(明誠堂) 등이 있다. 일종의 서원의 강령(綱領)을 압축해 놓은 것으로 강당의 정면 가운데에 현판을 걸어 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강당에는 현판과 더불어 여러 형태의 시나 기록들을 적은 기문(記文)들이 걸려 있다. 심지어 방문했던 유명인사들의 작품이나 건립 기부금을 냈던 이들의 이름을 걸어 두기도 한다. 따라서 강당에 걸려 있는 기문은 서원의 역사 기록이기도 한 것이다.

서원은 크게 제사공간과 교육공간으로 나뉘어 지고, 교육공간의 중심은 강당이다. 강당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기숙사인 동재(東齋)와 서재(西齋)가 놓여 있어 머물고 배우고 토론하는 교육공간을 완성한다. 강당은 원칙적으로 5칸 규모의 건물이어야 하지만, 서원에 따라 그 크기가 더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평면 구성은 중앙에 대청을 두고, 그 양측에 작은 온돌방을 설치하는 형식이 가장 많다. 또한 강당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기단을 높이 쌓고, 지붕은 팔작(八作)지붕으로 하고, 비교적 기둥을 크게 하여 웅장하게 만든다.

비교대상

도동서원 중정당



도동서원은 보물 35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35번지에 위치한다. 환주문을 지나면 정면 높은 기단 위에 서 있는 강당을 만날 수 있다. 강당의 기단은 마치 모자이크를 하듯 잘 맞추어 쌓아 올렸다. 가장 눈에 뛰는 것이 기단 면석 중간 중간에 넣은 석재 용머리다. 기단 위에 원기둥을 세워 구성한 강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중앙 3칸은 창호 없는 우물마루로 처리하여 탁 틘 마루 공간을 이루고 있다. 지붕의 형태를 맞배지붕으로 구성하고, 공포의 양식 또한 주심포를 적절히 섞어 사용함으로써 장식적인 면보다는 소박함과 고풍스러움을 강조하고 있는 강당이다.



도산서원 전교당



도산서원 전교당은 보물 21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번지에 위치한다. 전교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단층 팔작집으로 서측의 정면 1칸, 측면 2칸은 온돌방이고, 동측 정면 3칸, 측면 2칸은 대청이다. 보통은 강당 건물들이 5칸인 데 비해 매우 특징적이다. 대청의 전면은 창호 없이 개방하였고, 측면과 후벽에만 문을 달았다. 가구는 오량으로 초각한 대공을 종보 위에 세워 종도리 장여를 받치고 있다. 특히 온돌방 측 기단 앞에 팔각형 장주 위에 팔각 반을 올려놓은 정료대가 서 있다. <도산서원>이라는 현판은 전교당의 앞쪽 중앙의 처마 밑의 안벽에 걸려 있고, <전교당>이라는 현판은 북쪽 지붕 밑에 결려 있다.



옥산서원 구인당



옥산서원은 사적 15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7번지에 위치한다. 옥산서원은 1572년 선조에게 옥산이란 이름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무변루와 마주보고 있는 구인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형태를 가지고 있다. 가로 1칸의 넓이가 길어 규모가 크게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지붕의 곡선이 날렵하게 뻗쳐 있어 경쾌한 느낌을 준다. 가운데 오를 수 있는 계단이 나 있으며, 기단은 막돌쌓기로 높지 않게 조성되어 있다. 옥산서원의 다른 건물과 마찬가지로 단청이 칠해져 있다. 창호는 정면을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마루대청을 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