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교육공간

향교구역
외삼문
외삼문

향교 외삼문

일반정보

향교로 들어가는 문



외삼문은 향교로 들어가는 정문이다. 동시에 교육공간의 정문 역할을 하는 시설이다. 향교의 외삼문은 성현의 영혼이 드나드는 내삼문과 달리 산 사람들을 위한 문이다. 삼문을 설치하는 것은 경건한 교육공간에 잡인의 출입을 금하고, 향교에 들어오는 사람의 마음을 경건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문 상부에 도덕을 수양하는 교육공간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에서 <충의지문>, <입덕지문>, <존덕문> 등의 현판을 달아놓는다. 출입문을 겸한 누각을 향교 전면에 세울 경우, 외삼문은 생략되기도 한다.



교육공간을 지키는 삼칸의 문



교육공간의 출입문인 외삼문은 제사공간의 문과 달리 외부와 빈번하게 출입할 수 있는 문이다. 보통 향교 입구 한 곳에만 설치한다. 문의 평면 규모는 보통 1칸에서 9칸까지 구성되기 한다. 건축규모는 대체로 기둥을 2열로 세워 깊이 한칸을 갖는 전면 3칸형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건축형태는 주로 막돌 위에 둥근 기둥이 놓인 3량가의 민도리양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나주향교의 우진각지붕, 완도향교의 팔작지붕은 매우 특이한 구조이다. 한편 경남지방의 경우 29개의 향교 가운데 정문으로 누각을 건립한 곳이 23개나 되어 순수한 외삼문을 세운 향교가 드문 실정이다.

전문정보

향교의 정문(正門), 외삼문(外三門)



외삼문은 향교 입구에서 들어가는 정문(正門)이면서 동시에 교육공간의 정문 역할을 하는 시설이다. 향교 영역은 반드시 제사(祭祀)공간과 교육(敎育)공간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영역은 주변에 담장으로 구분하고 출입문을 둔다. 향교의 외삼문은 내삼문(內三門)과 달리 산자만을 위한 문이다. 그런데 삼문(三門)을 설치하는 것은 경건한 교육공간에 잡인(雜人)의 출입을 금하고, 향교에 들어오는 사람의 마음을 경건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그런데 출입을 겸한 누각(樓閣)을 향교 전면에 세울 경우 외삼문은 생략되기도 한다.

외삼문은 문 상부에 도덕을 수양하는 교육공간으로 들어간다는 의미를 담아서 현판(懸板)을 달고 있다. 보통 <충의지문(忠義之門)>, <입덕지문(入德之門)>, <존덕문(尊德門)> 등을 새겨 놓았다. 향교에 따라서는 내외삼문의 문인방(門引枋) 위로 홍살을 꽂아 신성 구역임을 표시하기도 한다.

교육공간의 문은 제사공간의 신문(神門)과 달리 단순히 외부와의 출입역할을 할 수 있는 문으로 볼 수 있다. 보통 1개소의 삼문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누문(樓門)을 설치하는 경우는 누각 하부에 출입문을 주어 통행하도록 되어 있다. 문의 평면은 다양한 규모가 있다. 보통 1칸에서 9칸까지 구성되어 있다.

건축규모는 대체로 기둥을 2열로 세워 깊이 한칸을 갖는 전면 3칸형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건축형태는 주로 막돌 위에 원주(圓柱)가 놓인 3량가의 민도리양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나주향교(羅州鄕校)의 우진각지붕, 완도향교(莞島鄕校)의 팔작지붕은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아주 특이한 구조이다. 경남지방의 경우 29개의 향교 가운데 정문으로 누각을 건립한 곳이 23개나 되어 순수한 외삼문을 세운 향교가 드문 실정이다.

비교대상

인동향교 외삼문



인동향교는 문화재자료 2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구미시 임수동 409-3번지에 위치한다. 높은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향교로 들어서는 첫 번째 문에 도달할 수 있는데 이것이 외삼문이다. 인동향교의 외삼문은 상류주택의 문간채와 그 모습이 비슷하다. 지붕은 맞배지붕의 형태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평면을 가지고 있다. 가운데 문은 판문으로 설치되어 있고, 우측 1칸은 온돌로 된 방으로, 좌측 1칸은 창고로 사용되어 공간이 있는 형태이다. 가운데 판문 위에는 향교란 현판이 걸려 있다.



영천향교 유래루



영천향교는 보물 61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북 영천시 교촌동 46-1번지에 위치한다. 영천향교의 외삼문은 문이 따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누각과 합쳐진 형태이다. 누각의 하단에 삼문을 설치하여 출입을 하도록 한 것이다. 유래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에 홑처마로 구성된 맞배지붕의 2층 누각이다. 누각 아래에는 3칸 모두 문을 달아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는 우물마루를 깔고 주위는 계자난간을 둘렀다. 가구의 구성은 굴도리 3량 구조에 초익공집이다. 보머리에는 봉황모양으로 초각한 장식물을 끼워 넣었다. 측면에 대보를 받치고 있는 기둥의 주두와 보아지의 형태가 특징이다.



강릉향교 외삼문



강릉향교는 시도유형문화재 9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강원도 강릉시 교동 233번지에 위치한다. 강릉향교의 삼문은 다른 문과는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3개의 문을 각각 담장을 사이에 두고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이 3개의 문에 각각 높은 계단을 설치하고 각각 문으로 오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중앙의 문은 신성함을 나타내기 위해 태극을 그리고 다른 문보다 크게 조성하고 있으며, 위쪽에 홍살을 설치하고 있다. 양쪽의 출입문 또한 쌍여닫이로 되어 있고 뒷면에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있다.